110회기 총회가 역사상 처음으로 정책협의회를 열었다. 11월 12일 서대문교회에서 열린 제1차 총회정책협의회는 상비부, 위원회, 산하 기관이 모두 모여 한 회기 동안의 사업을 공유하고 협력 방안을 논의한 자리였다. 총회의 정책총괄본부와 정책연구소는 각 분과의 논의 내용을 취합해 총회 전체 사업과 일정을 정리했다. 

총회장 장봉생 목사는 ‘정책총회’를 향한 첫 단계로, 모든 부서가 함께 모여 정책을 논의하는 구조를 제시했다. 실제로 전도선교, 교육, 목회신학, 사회, 정책, 행정, 대외협력 등 7개 분과로 나뉘어 회의한 결과, 각 부서의 사역이 중복되고 흩어져 있었다는 점이 확인됐다. 이번 협의회는 그동안 부서별로 단절되어 있던 행정을 통합적 시각으로 바라보게 했고, 총회 사역이 분산되지 않고 한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하는 ‘정책적 조율’의 출발점이 됐다. 앞으로 이 협의 구조가 회기마다 이어진다면, 총회의 사업은 효율성과 연속성을 확보하고 교회의 실제 요구에 더 밀착된 사역으로 발전할 것이다. 정책이 현장을 이끌고, 현장이 정책을 보완하는 선순환이 정착되는 순간, 정책총회의 문이 열릴 것이다.

내년 1월 예정된 제2차 정책협의회에서는 이번 협의의 결과를 점검하고, 연합사역의 구체적 실행과 조율 매뉴얼 마련이 논의될 것이다. 부서 간 협력에서 생길 수 있는 이견과 갈등을 어떻게 조정할지, 교회 현장의 의견을 어떻게 반영할지를 체계화하는 과정이다. 이런 절차가 정착되면 총회는 교회와 쌍방향으로 소통하며 비전을 제시하는 ‘정책총회’로 성장할 수 있다.

기독신문의 역할도 더욱 중요해졌다. 정책협의회의 변화가 교단의 구조 개편으로만 머물지 않고 사고의 전환으로 이어지도록, 기독신문은 정책총회의 비전과 성과를 교회와 노회에 명확히 전달해야 한다. 동시에 교회의 목소리와 현장의 경험을 총회로 환류시키는 창구로서 역할해야 한다. 정책으로 움직이는 총회, 그리고 말씀과 공동체로 연결된 교단의 미래는 이렇게 신뢰의 소통 위에서 완성된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