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이사회 2월 3일 소집 … 정족수부터 후임이사 선임까지 총회·총신 합의 ‘주목’

총신재단이사회가 2월 3일에 소집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총신대에 관선이사 파송이 사실상 확정되는 교육부 청문회는 2월 6일이다. 결국 2월 3일 총신재단이사회가 관선이사 파송을 막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인 셈이다. 이러한 가운데 총신재단이사회가 후임이사를 선임하여 관선이사 파송을 극적으로 막아낼 수 있을지, 총신재단이사회가 후임 이사 선임 외에 산적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교단의 이목이 총신으로 향하고 있다.


개회 8명·이사 선임 9명 필요

총신재단이사회의 재적수는 총 15명, 그러나 현재 긴급처리권을 가진 이사는 12명이다. 게다가 2명은 와병 중에 있다. 재단이사회가 개회하려면 일단 정족수에 해당되는 8명의 재단이사가 참석해야 하지만 그동안 쉽지 않았다. 8명에서 단 한 명이라도 부족하면 재단이사회가 무산되고 그대로 관선이사 파송이 확정된다.

8명 이상이 참석하여 개회를 했다고 곧바로 후임이사를 선임하는 것은 아니다. 그 전에 후임이사 선임만큼 중요한 2015년도 학교 결산을 다룬다.

재단이사회는 지난해 5월 말까지 2015년도 학교 결산을 마무리하여 사학진흥재단에 통보했어야 했다. 이번 2월 3일 재단이사회에서 2015년 학교 결산을 처리하지 못한다면, 관선이사 파송 여부와 별개로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치명타를 맞게 된다. 또한  2017년도 예산 소위원회 구성, 교원 재임용 등도 이번 재단이사회에서 처리할 안건이다.

묵혀놓았던 안건을 마무리 지으면, 후임이사 선임에 들어간다. 단 그 전에 개방이사추천위원회가 모여 2배수인 8명의 개방이사 후보와 개방감사 1인을 재단이사회에 추천해야 한다. 그러면 재단이사회는 그중에서 4명의 개방이사와 개방감사 1인을 선임한다.

이어 개방이사 4인 외에 11명의 후임이사를 선임할 차례다. 후임이사 선임도 정족수인 8명이 참석하면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재단이사 중 유임되는 인물이 있다면 8명이 아니라 9명이 참석해야 한다. 유임되는 이사는 자신의 대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총회와 총신 양쪽의 소식통에 따르면 유임되는 재단이사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개회는 8명이 필요하지만, 후임이사 선임은 재단이사 9명의 참석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개방이사를 포함한 15명의 이사만 선임한다고 되는 것도 아니다. 몇 가지 조건을 필히 맞
춰야 한다. 먼저 15명 중 교육 경력 3년 이상의 교육이사 5인을 반드시 선임해야 한다. 아울러 서울서북 5명, 중부호남 5명, 영남 5명의 지역구도로 맞춰야 한다. 이 조건을 모두 충족한 상태에서 15명의 후임이사를 선임했을 때 이를 교육부에 통보한다. 이어 교육부의 신원조회를 거쳐 문제가 없을 시 새로운 이사들이 취임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후임이사 15명 전부를 선임하는 게 여의치 않을 경우, 개방이사 4인을 포함한 의결 정족수 8인의 후임이사라도 선임해야 한다. 그래야 관선이사 파송을 막을 수 있다.


총회·총신 합의해야 숨통 열린다

이처럼 정족수를 채우는 것부터 개방이사 교육이사 지역구도를 맞추는 것까지 후임이사 선임은 산 넘어 산이다. 이러한 이유로 정족수를 채운다고 해도 재단이사회 당일 모여 후임이사를 선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고, 사전에 총회와 총신이 합의를 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이다.

설날 전후로 총회 측과 총신 측이 만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여전히 양측이 이사 구성비를 놓고 팽팽히 맞서고 있어 합의에 도달할지 미지수다. 그나마 희망적인 것은 기존 재단이사들이 커다란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는 점이다.

총신 정상화를 위해 조직된 총회임원 소위원회 위원장 김정설 목사도 “총회임원회에서도 재단이사 개개인에게 연락하여 반드시 참석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총회와 총신이 한발씩 양보하면 길이 열릴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끝내 총신재단이사회가 개회를 못하거나 혹은 개회를 하더라도 후임이사를 선임하지 못한다면, 116년 총신 역사에서 치욕의 순간을 맞게 될 것이다. 벌써부터 총신대에 관선이사가 파송된다면 오는 102회 총회에서 조사처리위원회를 구성해 관련자들을 일벌백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확실한 것은 교단과 총신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그 어떤 누구도 책임지는 일이 없길 바랄 것이다. 나아가 긴급처리권을 가진 재단이사들과 총회와 총신 측 관계자들이 극적 드라마의 주인공이 되길 기대할 것이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