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언 목사의 섬마을 순례]

섬의 생김새가 가래를 들고 곡식을 파헤치는 모습과 비슷하다 해서 ‘가래섬’이라는 옛 지명을 가진 추도(楸島)는 경남 통영에서 남서쪽으로 약 21km 떨어져 있는다. 면적은 1652㎢이며, 인구는 2015년 기준 83가구 157명이다.
추도에 최초로 사람이 입도한 것은 120년 전이다. 욕지도로 사슴 사냥을 갔던 뭍사람들이 풍랑을 만나 추도에 피신했다가 그대로 정착한 것이란다. 추도에는 ‘희망봉’이라고 불리는 큰 산과 작은 산을 중심으로 북서쪽 미조마을, 남서쪽 대항마을, 그리고 샛개와 어둥구리 등 네 개 마을이 있었다. 지금은 주로 대항마을과 미조마을에 사람들이 산다.

추도의 자랑거리는 다른 섬에 비해 물이 대단히 좋다는 것이다. 산에서 솟아나는 추도의 물은 위장병에 효과가 있어 많은 이들에게 도움을 주었다. 게다가 우물마다 물이 펑펑 솟아나, 아무리 가뭄이 심해도 걱정이 없었다. 물이 풍족하니 논농사도 짓는다. 그래서 보릿고개 시절에도 쌀밥을 먹을 수 있을 정도로 넉넉했다고 한다.

섬의 남쪽에 즐비하게 서있는 기암괴석들도 자랑거리이다. 미조마을의 용머리는 수려한 자태를 갖고 있다. 용의 머리를 닮은 지점이 본섬과 엉켜 붙은 듯하면서도, 물이 빠지면 확실히 떨어져 있는 모습이 특이하다. 용머리가 있는 용두도는 사실상 미조마을의 방파제 역할을 한다.

미조마을이란 이름은 추도 바로 건너편 경남 남해의 미조마을과 똑같다. 예전에 남해 미조마을 사람들이 추도를 처음 개척할 당시, 자기네 동네와 똑같이 이름을 지은 것이라 한다.

미조마을에는 천연기념물 제345호로 지정된 수령 300년의 후박나무 한 그루가 진한 초록색을 하고 서 있다. 키가 10m, 둘레가 4m나 되는 거목으로서 나무 전체가 우산 모양을 하고 있다. 후박나무에 근접한 민가가 있는데, 한여름에 마당으로 나오면 나무가 드리운 그늘이 더위를 가시게 해 줄듯하다. 마을사람들은 ‘사대나무’, ‘사대부나무’라고 부른다.

여객선이 닿는 선착장에서 마을로 가는 길은 ‘추도대항길’이다. 대항마을 주변에는 고구마 밭이 제법 있다. 추도의 주업종이 고구마라 해도 틀리지 않을 성 싶다. 그런데 이곳에서는 고구마를 수확 즉시 절간한다고 한다. 5㎜ 정도로 얇게 썰어서 말리는 것이다. 수확한 밭에서 썰어 그곳에다 말리면 좋을 텐데 일부러 동네 가까운 곳까지 지게에 지고 머리에 이고 나른다. 워낙 삼림이 우거진 곳이라 밭 근처에서는 해가 빨리 넘어가 버리기 때문이다.

마을회관을 지나면 길 끝에 학교가 있다. 지금은 폐교가 된 추도초등학교다. 교적비에 의하면 해방 직전인 1944년 4월 24일에 개교하여 졸업생 856명을 배출하고, 1997년 3월 1일에 폐교했다. 학교에서 나오면 왼쪽으로 마을 끝에 교회가 있다. 붉은 색의 뾰족탑이 인상적이다.

추도에는 1910년 복음이 들어왔다. 처음에는 미조마을에서 교회가 시작되었는데 일제의 탄압으로 문을 닫았다가, 도시에서 대장간을 하시던 분이 섬에 들어와서 교회를 이끌었다. 나중에 그분의 아들 3명이 도시로 나와 살면서, 1975년 교회를 도와 대항마을 중턱에 예배당을 옮겨 세우는 역할을 하였다.

추도의 바다 밑에서는 유독 바다메기(물메기)가 잘 잡힌다. 물메기의 고향이 추도라고 할 정도이다. 메기잡이 때문에 아직도 주민들이 추도를 떠나지 못하는 지도 모른다. 물메기는 여름을 동중국해상에서 나고, 겨울이면 산란을 위해 우리나라의 남해안으로 올라온다. 11월부터 1월까지 추도 근해에서 통발을 이용하여 70~80% 정도를 잡는다.

물메기 1마리를 4식구가 먹을 수 있다. 살이 물러 대개 끓여 먹는다. 맛이 시원하여 겨울철 일등 메뉴로 자리매김하였다. 생산량이 많지 않아 수도권에서는 거의 맛볼 수 없는 귀한 먹을거리이다. 겨울철 추도에 오면 마을마다 물메기를 말리는 덕장의 모습이 장관을 이룬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