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명성황후를 보면 최후의 죽음을 맞는 명성황후의 비통한 노래가 나온다. “바위에 부서지더라도 폭포는 떨어져야 하고 / 죽음이 기다려도 가야 할 길 있는 법 / 이 나라 지킬 수 있다면 이 몸 재가 된들 어떠리 / 백성들아 일어나라 / 조선이여 무궁하라 흥왕하여라.”

그녀의 고백처럼 조선의 산야는 일본의 말발굽 아래 짓밟혔으며 총탄 아래 쓰러졌다. 그러나 나라가 망했을 때 분연히 일어난 구국의 외침이 바로 3·1운동이 아니었던가. 그런데 3·1운동의 기초는 다름 아닌 기독교 정신이었다. 기미독립선언서 민족대표 33인 중에 16명이 목사요 전도사였다. 전국적으로 90%가 넘는 교회와 신자들이 3·1운동을 주도했다.

뿐만 아니라 안창호, 남궁억, 신채호, 유관순 등 독립운동을 주도한 민족 지도자들도 대부분 기독교인이었다. 이처럼 한국교회는 민족의 고난에 동참하며 희생의 촛불을 들고 몸을 불살랐던 애국 종교요, 민족 종교였다.

그러므로 교계가 아무리 시끄럽고 누가뭐라해도 다시 제2의 3.1운동을 일으켜야 한다. 그것은 신앙의 본질을 회복하고 민족의 상처를 보듬고 싸매어주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이다. 오늘 이것이 우리의 사명이자 비전이다.
 (새에덴교회·시인)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