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이 보름 후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다. 올해는 코로나엔데믹 시대로 접어들어 예배나 모임만으로 볼 때 코로나팬데믹 시대 이전으로 거의 돌아갔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대규모 선교대회, 교회별 수련회, 선교여행도 예년수준으로 회복됐다. 코로나팬데믹의 여파로 중소형 교회들이 피해를 당한 반면, 대형교회들은 오히려 성도 수가 늘어나기도 했다. 이는 장기간 어려움이 변함없이 지속되는 가운데 대형교회들이 올라인(All-Line) 활동을 강화하는 쪽으로 목회방향을 잡은 것이 주효했기 때문이다. 대형교회들은 미디어 장비나 인력 배치에 공격적으로 치중해 성도들의 교회에 대한 관심을 붙잡았다.

이러한 전략은 현대 교인들의 개인주의적 성향에도 부합하는 바였다. <한국교회 트렌드 2024>라는 저서에 따르면 한국교회에 새로운 트렌드가 ‘OTT 크리스천의 증가’였다. 쉽게 말해서 스마트폰을 이용해 예배도 드리고 관심 있는 신앙콘텐츠도 적극적으로 찾아서 누리는 성도들이 늘었다. 대형교회들의 올라인 성도 관리는 주체적으로 궁금한 것을 찾아 보고 본인의 신앙으로 이해하기를 원하는 현대 신자들의 개인주의적 성향을 겨냥했고 부합했다. 앞으로도 온라인 목회를 강화하는 경향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제는 가상공간을 어느 교회가 잘 구축하느냐가 목회성공의 관건이 된 것이다.

이런 가운데 또다른 교회들은 마룻바닥 기도회, 철야기도, 전도활동과 봉사, 세대통합예배, 소그룹 사역, 공유예배당 활용, 연합활동과 네트워크 동참 등의 모습을 보였다. 올라인 시대에 오히려 전통적인 신앙을 강조했고 교회만의 특색을 강화했고 연대하는 일에 힘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 한 해 쏟아졌던 교회와 관련된 통계들은 여전히 저조한 신뢰도와 호감도를 가리켰다. 이는 예배와 성도수의 회복의 결국은 다시 복음전도와 사회적 영향력으로 연결돼야 한다는 것을 깨우쳐 준다. 그런 의미에서 12월은 교회의 본질과 사명을 처음부터 다시 생각해야 하는 시간이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