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로교를 위시한 주요 교단들이 9월 넷째 주 정기총회를 열고 교단의 현안을 다뤘다. 총회에서 논의되는 안건들을 보면 현재 한국교회의 상황을 알 수 있다. 

여러 교단 총회에서 우선 눈에 띈 것은 금권 선거 방지였다. 우리 교단은 선거 2년 전부터 각종 후원을 금지토록 했는가 하면, 백석 교단은 50여 명 선거인단을 구성해 총회 당일 후보자를 선정하고 투표하기로 했다. 신학교에 대한 지원도 고민거리였다. 총신대에 매년 10억 원을 지급하기로 한 것이나, 합신이나 고신 교단이 합동신대원이나 고신대원 재정 후원 건을 놓고 심사숙고한 것이 신학교의 현실을 보여줬다. 목회자들의 국민연금을 노회로 하여금 지원토록 한 교단 사례에서 보듯이 목회자 노후대책은 모두의 관심사였다. 성 윤리에 대해서도 우리 교단뿐만 아니라 기장이나 기침 교단도 예의주시했다. 청빙 담임목사나 기관 임직원이 되려면 성범죄 이력 조회를 하도록 했다. 이처럼 많은 교단이 신학교와 목회자 관리 문제를 현안으로 내놓았던 것은 기성 목회자는 노령화되고 교회와 다음세대 목사들은 줄어든다는 위기감 때문이었다. 또 코로나19를 전후해 목회환경이 변화되고 있으며 교회에 대한 사회적 신뢰도가 회복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최근 몇 년 간의 통계를 보면 교인과 교회 수는 줄지만 목회자는 늘어나고 있는데 향후 양쪽이 동반 하락할 수 있다는 위기감을 가지고 대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한편 교단들이 총회 기간 동안 교회의 회복을 위해 고심했지만 상대적으로 사회에 주는 메시지는 적었다. 환경 문제나 사회적 이슈에 대해 교회가 공감하고 구체적으로 행동하겠다는 위로와 희망의 몸짓이 부족했다. 예년에 비해 교회연합운동과 관련된 긍정적 논의를 찾아보기 힘들었던 것도 아쉬웠다. 포스트코로나 시대 급변하는 목회환경 속에서 교단 총회가 소속 교회를 보호하려는 조치들에 집중하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바는 아니다. 그러나 사회가 주목하고 환영할 수 있는 개혁적이고 진취적인 결정들을 총회 전에 충분히 준비하고 연구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