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증전도연구소, ‘AI와 영혼 & 죽음 후의 삶’ 주제로 영혼 불멸·영속성 변증

변증전도연구소가 ‘AI와 영혼 & 죽음 후의 삶’을 주제로 변증콘퍼런스를 진행하고 있다. 연구소는 인공지능이 인간과 같은 자의식을 갖게 될 것이란 전망을 부정적으로 보면서 헛된 믿음에 흔들리지 말고 자신의 영적 상태를 늘 점검하고 조언했다.
변증전도연구소가 ‘AI와 영혼 & 죽음 후의 삶’을 주제로 변증콘퍼런스를 진행하고 있다. 연구소는 인공지능이 인간과 같은 자의식을 갖게 될 것이란 전망을 부정적으로 보면서 헛된 믿음에 흔들리지 말고 자신의 영적 상태를 늘 점검하고 조언했다.

AI(이하 인공지능) 발달로 공상과학 영화에서나 볼 수 있을 법한 일들이 일어나면서 그와 더불어 조명 받는 것이 ‘뇌의 우수성’에 대한 부분이다. 인간의 뇌가 얼마나 정교하며 뇌는 어떤 기능을 하며 어떻게 작용하고 뇌의 역할이 얼마나 대단한지 하는 내용이다. 이러한 뇌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각종 뇌 과학에 대한 연구 서적이 대중화되어 많이 번역되고 초능력을 소재로 한 드라마나 영화들도 인기를 모으고 있다.

변증전도연구소(소장:안환균 목사)는 11월 5일 청주 서문교회에서 ‘AI(인공지능)와 영혼 & 죽음 후의 삶’을 주제로 2022 기독교변증콘퍼런스를 개최했다. 연구소는 이번 콘퍼런스에서 뇌 우상 시 경향을 비판하고, 뇌 기능이 멈추면 인간은 사라지며 의미가 소멸되는 존재라고까지 말하는 주장을 경계했다. 연구소는 인간은 영혼과 몸(두뇌)의 연합으로 이뤄진 존재로서 상호 영향을 주고 있으며, 몸이 사라지면 인간의 모든 것은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심판과 영생이 기다리고 있다는 사실을 주지시켰다.

콘퍼런스 첫 번째 강사로 나선 이승엽 교수(서강대)는 ‘AI는 영혼을 가질 수 있는가’라는 제목으로 “많은 인공지능 관련 미래학자와 과학자가 인간과 같은 자의식을 갖는 인공지능의 출현이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것은 추론일 뿐이며 전혀 과학적인 근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서 “생명체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처럼 인간과 같은 영혼을 가진 인공지능이 탄생하는 일은 불가능하다”고 단언했다.

이어 길원평 교수(한동대 석좌)는 ‘물리학자가 본 물질과 영혼의 문제’ 강의에서 두뇌주의 경향에 대한 염려를 표현했다. 길 교수는 “두뇌주의란 마음은 두뇌로부터 생겨난다는 주장이며, 정신은 두뇌 세포로 이루어진 거대한 회로망에 의한 물리화학적 현상, 즉 두뇌 속에서 이루어지는 정보처리 과정이라고 본다”고 설명했다.

두뇌주의는 ‘나’라는 체험은 뇌의 정보처리과정들이 통합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현상에 불과하다고 본다. 즉 ‘나’라는 존재 자체가 두뇌의 정보처리 과정의 결과물이다. 가치관, 윤리, 철학, 종교 등은 두뇌가 확률과정(시행착오)으로 만들어낸 체계에 불과하다. 자유의지도 정보처리과정의 최상부에 의해 나중에 의식화된 현상이다. 즉 두뇌가 처리한 결과를 ‘의지’라고 착각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죽으면 몸과 함께 마음은 사라지고 영혼 자체는 없다는 주장이다.

길 교수는 “두뇌주의는 영혼의 존재를 부정하고 있다”면서 반론을 이어갔다. 길 교수는 비물질인 영들이 실제로 물질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 동물은 아주 초보적 정신 활동이 가능하지만 창의성 윤리성 종교성은 인간만 가지고 있다는 점, 마음이 두뇌 의존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곧 영혼이 없다는 증거가 될 수 없다는 점 등을 지적했다.

박명룡 목사(청주서문교회)도 ‘인간의 영혼, 죽음 후에도 삶이 있는가’ 강의를 통해 물질주의자들의 인간이 죽으면 모든 것이 끝난다는 주장에 대해 변증했다. 박 목사는 책상의 경우, 책상의 구성요소를 바꾸면 다른 책상이 됐다고 말할 수 있지만 인간의 경우, 세포조직이 바뀌더라도 다른 인간이 됐다고 판단할 수 없다고 논리를 전개했다. 인간은 7년마다 거의 모든 세포 조직이 바뀌지만 그 누구나 사람이 바뀌었다고 말하지 않는다. 또 이런 비유도 들었다. 책의 구성요소는 종이와 활자라고 말하는 것은 정확한 분석이 아니라는 것이다. 책은 종이와 활자로 이뤄진 것은 사실이지만 책의 본질은 책 속에 있는 정신이다. 그렇듯이 인간도 물질로만 구성되었다고 주장하는 것은 인간이 인간됨을 누릴 수 있는 본질이 바로 인간의 정신(영혼)임을 간과하는 그릇된 시각이라고 주장했다.

또 박 목사는 임사경험(죽음을 경험하는 것)자들의 숫자가 매우 많고, 그들이 심장이 멈추고 뇌파가 정지되어 의학적으로 죽은 상태에서 다시 의식이 돌아올 때까지 일어난 주변 상황들을 모두 다 보고 기억하여 보고했다는 점을 들어 인간의 영혼이 존재한다고 변증했다. 박 목사는 영혼의 존재를 부인하고 최근 들어 인공지능 기술 발달이나 두뇌과학의 보편화 경향에 힘입어 영혼이 없다고 말하는 이들의 이론은 허술하고 불완전하다고 지적했다. 박 목사는 “사람이 죽으면 끝이 아니라 인간의 영혼은 죽은 후에도 계속해서 존재할 수 있으며 누구나 하나님의 심판대 앞에 서야 한다”면서 “예수님을 믿어 그 분 안에 있는 영원한 생명과 소망을 누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환균 목사(그말씀교회)는 ‘불교 유교 기독교 세계관에서 본 영혼의 문제’ 제하의 강연에서 세 종교의 영혼에 대한 주장을 비교하고 “기독교 세계관을 바탕으로 인간 영혼의 본질과 기능을 이해해야 모든 사람에게 필요한 궁극적인 구원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게 된다”고 조언했다.

인공지능뿐만 아니라 인류는 새로운 기술의 진보가 있을 때마다 스스로의 운명과 생명을 좌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어왔다. 변증전도연구소는 이번 콘퍼런스를 통해 인간은 영적인 존재이며 사후에 영생이 있음을 다시금 깨우치고 구원은 인간의 지식과 기술로 취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