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제103회 총회에서 교회자립개발원의 보고에 따르면 교단 내 미래자립교회가 42.7%였다. 연간 예산 3500만원 이하가 그 기준이었다. 자립교회는 28.5%, 타 교회 지원 여력이 있는 교회는 28.8%로 분석되었다. 그 후 코로나19 상황을 겪으면서 미래자립교회는 더욱 어려워졌다는 아우성이 들린다.

국가도 복지사회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있다. 지자체별로 복지 사각지대까지 세밀히 살피려고 노력한다. 반면 이와 관련해 교회는 아직 멀었다는 현실이 안타깝다.

지난 9월, 각 교단 총회는 코로나19로 더 어려움에 빠진 목회자들에게 관심을 기울였다. 자비량 목회를 허용한다든가, 목회자 은퇴 후를 위한 국민연금 납입금 지원 연구를 결의하기도 했다. 또 개척교회와 미래자립교회 목회자를 우선대상으로 하는 연금제도를 시행하려는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이런 정책이 미래자립교회 목회자에게 따뜻한 햇볕이 되기에는 아직 요원해 보인다. 과연 힘들게 목회하다 은퇴한 목회자들이 살 길은 있는가? 현장 목회 시절과 다르지 않게 여전히 복지 사각지대에 머물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따라서 총회는 미래자립교회 목회자의 생계나, 은퇴 후 보장을 위한 보다 현실적인 정책을 세워야 한다.

끼니를 해결하기도 힘든 데다, 불의의 사고나 질병이 찾아오면 그야말로 궁지에 몰릴 수밖에 없는 목회현장을 내버려둔 채 펼치는 이만교회운동은 어떤 의미가 있을지 모르겠다. 생존을 위한 막노동에서 당한 사고로 절망하는 목회자 소식도 들려온다. 이런 상황에서 독립법인화한 교회자립개발원에 기대를 걸고 싶다.

다행히 총회가 연기금 가입을 확대할 방법을 찾고 그것으로 미래에 생계곤란자로 전락할 수 있는 목회자를 배려하는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따라서 총회적으로 강제하더라도 성장보다 분배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목마를 때 마실 것을, 배고플 때 먹을 것을, 또 헐벗었을 때 입을 것을 주라는 깨우침에 귀를 닫지 않아야 한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