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7회 총회가 은혜롭게 파회했다. 회기 초부터 상비부가 바쁜 움직임을 가져가는 가운데, 새롭게 구성된 상비부의 열정이 그 과정만큼 결과도 창조적이고 발전적이기를 기대한다. 상비부는 매 회기마다 총회장이 제시하고 총대들이 동의한 방향에 맞춰갈 필요가 있다. 그렇게 변화를 하고 새로운 도전을 한다면 보다 진보적인 총회를 만들어낼 것이라 믿는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현재의 21개 상비부는 지난 1998년 제83회 총회 이후 계속 이어지고 있다. 매년 상비부가 새롭게 조직이 되지만 오랜 전통대로 운영되고 있는 것이다. 굳이 계획서를 들어다 볼 필요도 없이 어떤 일을 할지 알 수 있을 정도다. 같은 사역을 하더라도 변화를 만들고 창의적인 모습을 드러낼 수도 있을 텐데 판박이처럼 같은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 중 하나는 매우 경직된 예산 구조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총회 전에 이미 예산안이 편성되고 상비부에 필요한 재정도 전과 다르지 않게 배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경직된 예산 운영으로 인해 좀 더 새로운 방향으로의 운영이 불가능하다. 자칫 예산 전용 등의 문제를 떠안아야 하기 때문이다. 총회직원들에 의해 집행되는 그 규격화된 예산안은 조금의 융통성도 허용되지 않는다.

더 심각한 문제는 상비부장이나 임원 등 요직은 전체 총대 수에 비하면 얼마 안 되는 인사들의 전유물처럼 되어 있다는 것이다. 특정한 인사들이 회전문처럼 돌아가며 상비부 요직을 차지하고 있다. 그것을 막기 위해 3년 순환제를 적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항상 편법은 존재한다. 그리고 상비부 부장 후보들은 총회 전에 정치적으로 부서의 임원들을 내정한다. 기능이나 인물의 적합도는 검토하는 것 같지 않다. 물론 부장 후보 단일화 등으로 인해 경선도 많지 않은 실정인 것도 문제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그 어느 때보다 기대되는 제107회기에서는 다음 회기를 위해서라도 뭔가 변화를 위한 꿈틀거림이 있으면 좋겠다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