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는 2019년을 교단의 통일운동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 한 해로 평가한 바 있다. 그 해 통일부로부터 ‘대북지원사업자’로 지정받았기 때문이다. 몇 년 동안 통일부의 문을 두드린 노력의 결실이었다. 100회기부터 노력해왔지만 북한 공식 기관과 협약을 체결하지 못해 번번이 주저앉았다.

그러던 중 2018년 12월 당시 이승희 총회장의 방북에 이어, 이듬해 4월 총회임원과 통일준비위원의 방북 및 지원이 이뤄졌다. 북한 국토환경보호성 산림총국과 양묘장 건설 등의 협약을 체결했다. 이렇게 통일부의 요구조건을 갖추므로 대북지원사업자가 된 것이다. 이로써 총회는 대북지원 관련 단체와 사업 협력이 아닌, 독자적인 대북사업을 전개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그 이후로 대북지원사업은 흐지부지된 분위기다. 총회는 남북교회교류협력위원회나 통일준비위원회 등으로 대북사역을 해왔거나, 현재 활동 중이다. 그러나 기도회나 세미나 등에 머물고 있고, 대북사업자로서 눈에 띠는 대북사업은 찾아보기 힘든 형편이다. 대북지원사업자가 되었다는 것은 권리만 확보한 것이 아니다. 사업의무를 진 것이다. 그렇다면 가능한 일을 찾고 성과를 냈어야 한다. 몇 년이 지난 지금 아쉬운 마음뿐이다.

총회는 정부의 대북정책이 어떻든 성경적 관점에서 북한을 바라보고 사업을 펼쳐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그 땅을 회복하고 평양신학교와 부흥하던 교회의 재건 의지와 희망이 살아있음을 보여주어야 하지 않겠는가. 현재 남북관계가 원활하지 않다. 그렇기에 총회의 역할이 더욱 요구된다. 남북 당국간 관계가 좋지 않을 때 조용한 민간 교류가 그 솔루션일 수 있다.

독일통일의 사례에서도 교회의 역할은 돋보인다. 성 니콜라이교회의 꾸준한 월요기도회는 ‘칼을 쳐서 보습으로’라는 기치의 평화기원운동으로 이어졌다. 기도에만 머물지 않고 꾸준하고 현실적인 지원을 했다. 이것이 통일로 이어진 것이다.

우리 교단이 남북통일에서 교회의 역할을 너무 과소평가하는 것 같아 걱정스럽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