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신대가 생각보다 빠르게 안정을 취해가고 있다. 총회산하 전국교회의 협조와 총신대 교직원들이 ‘한마음’이 되어 학교를 살리겠다는 절박한 의지가 정상화에 오롯이 드러나고 있다. 총신대가 정상화로 가는 길목에 중요한 요소로 총신 운영이사회 존폐 여부가 대두되고 있다.

총신대가 교단의 ‘정치1번지’로 급부상하게 된 배경에는 운영이사회가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총신운영이사회 규약을 보면 운영이사회가 총신대를 재정적으로 지원한다거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 아니라 당연히 총회정치를 하도록 되어 있다.

운영이사들이 하는 일을 크게 보면 세 가지로 요약된다. △법인이사 선출 △총장선출 △총신대 예결산 심의 및 졸업예정자 심의 인준 등이다. 다시 말해 수 년간 총회와 총신대의 갈등의 정점에는 법인이사와 총장 선출을 둘러싼 암투가 자리하고 있었다.

학교가 발전하도록 ‘조력자’ 역할을 하는 게 아니라 정치의 장이 되어 분탕질을 부추기는 역할을 그동안 운영이사회가 해 왔다는 점이다.

각 노회 정기회가 열리는 봄 노회시 총대선출 다음으로 촉각을 곤두세우는 것이 총신운영이사 선정이다. 노회마다 힘 있는 자들은 우선순위로 총신운영이사로 파송받고, 그 다음 세계선교회 이사, 기독신문 이사 순으로 서열이 매겨진 채 파송이사를 보낸다. 이것만 봐도 운영이사의 ‘군림’은 노회나 총회에서도 대단하다.

그러나 이번 제104회 총회에 총회장이 속한 동한서노회를 비롯 여러 노회가 ‘운영이사회 폐지 및 법인이사회 확대’를 헌의했다. 총신을 살리는 맥을 확실히 짚은 것이다.

그동안 운영이사회는 총신에 큰 유익을 주는 역할보다 정치적 이익단체로서 관리자로 군림하는 이사회였다는 것이 대다수 평가다. 지금 총회는 정치적 도약을 다지는 조직은 배제하고 건강한 정책을 수립하는 그런 기구나 이사회가 필요하다. 법인이사회와 운영이사회의 이원화 된 조직을 단일체제로 정비하여 총신대를 안정시키는 게 급선무라는 생각이 든다.

현 부총회장 김종준 목사는 “교단이 운영해야 할 총신대를 임시이사들이 파송되어 운영하고 있다”며, “하루속히 무너진 총신을 바로 세우고 회복시키는 일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 속 마음 가운데 법인이사회 단일체제도 포함되어 있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