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만 하다 한 회기를 마친다” “그 사람이 또 들어가나” “총회장의 논공행상이다”….
그동안 특별위원회를 바라봤던 차가운 시선들이다. 물론 최선을 다해 직무를 감당하고, 나름의 열매를 거둔 특별위원회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총회 때마다 이러저러한 이유로 새로운 특별위원회가 만들어지고, 전문성도 없이 회전문 인사가 이뤄지고, 별다른 결과물 없이 어영부영 회기를 마치는 것을 많이 봐온 대다수 총대들에게 특별위원회는 탐탁찮은 조직임에 틀림없다. 제103회 총회에서 특별위원회 축소가 총대들의 호응을 얻은 것도 그 때문이다. 이번 기회에 불필요한 특별위원회가 축소될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한편에서는 과연 제대로 특별위원회 축소가 이뤄질까 하는 우려가 되기도 한다.

먼저는 기존 특별위원회들의 반발이다. 특별위원회는 여러 총회에서 나름대로의 필요에 의해 생긴 조직이다. 상설위원회 같은 경우에는 규칙까지 만들고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위원들 역시 각 노회나 지역에서 이른바 정치력이 있는 인물들이다. 이런 상황에서 총회임원회가 얼마만큼 객관적인 잣대로 위원회 존속 여부를 판단하고, 실행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또 하나는 형평성 문제다. 총회장이 특별위원회 축소 필요와 함께 내세운 것은 상비부 기능과 역할의 강화였다. 특별위원회와 상비부 기능이 겹친다면 특별위원회를 폐지하고 상비부를 강화하는 것이 마땅하다. 그러나 현 상비부들이 기능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또 현 시대에 적합한 지에 대해서는 쉽게 동의가 되지 않는다. 상비부 역할 조정과 변화에 대해서든 차제에라도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총회총대는 앞장서 교단의 미래를 고민해야 할 사람들이다. 교단의 미래를 위해서 필요하다면 과감히 자신의 기득권을 포기할 줄 알아야 한다.

지난 100회, 101회 총회에서 유사 상비부 및 특별위원회 통폐합이 이뤄지지 못한 것은 총대들의 ‘기득권 수호’가 큰 이유였다. 교단 미래를 생각하는 총대들의 자발적인 ‘포기’를 기대하고, 더불어 총회임원회의 객관적이면서 단호한 결정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