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2회 총회특집] 주요결의 - 선거관련

▲ 제102회 총회는 ‘선거 총회’로 불릴만 했다. 총회 역사상 최초로 전자투표가 시행됐으며, 재판국원 선관위원 직선제가 실시됐다. 또한 총회총무 선거는 6명이 등록해 역대 최대 경쟁률을 보였다. 전자투표로 진행된 총회총무 선거에서 선거관리위원들이 집계를 살펴보고 있다.

총회 선거에 대변혁이 일어났다. 총회임원 선거에서 완전 직선제가 17년 만에 다시 부활했다.
제102회 총회에서는 직선제에 대한 갈망이 컸다. 동수원노회를 비롯해 남전주노회, 목포서노회, 함동노회, 황동노회 등 5개 노회가 총회임원 선거를 직선제로 시행하자고 헌의했다.

9월 21일 총회 넷째 날 저녁회무 때 정치부는 중간보고로 직선제를 시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박광재 목사는 “직선제는 과열을 조장한다. 성경적인 선거인 제비뽑기를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선 직선제 후 제비뽑기로 바꾸자”고 제안했다. 그는 평소 일명 ‘맛디아 선출방식’으로 불리는 제비뽑기와 목회자 윤리규정을 “한국교회 신뢰회복 양 날개”로 주장해 왔다.

반면 김승동 목사는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총대를 설득했다. 그는 과거 부총회장 선거에서 제비뽑기의 장벽에 막혀 두 차례나 고배를 마셨던 인물. 김 목사는 “제비뽑기로 총회 선거에 아픔을 겪었다”면서 “총회 선거문화가 어느 정도 성숙했다. 후보들간에 경쟁을 통해 리더를 선출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결국 총회는 거수투표를 통해 직선제를 전격적으로 선택했다.

사실 총회 안에는 금권타락 선거에 대한 우려가 끊이질 않았다. 그래서 2001년 제86회 총회 때부터 제비뽑기 선거제도로 총회임원을 선출했다. 제비뽑기 선거제도는 금권타락 선거를 방지한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었지만 총회의 리더십이 흔들린다는 부정적인 여론도 만만치 않았다.

제비뽑기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2013년 제98회 총회부터 제비뽑기와 직선제를 혼합한 ‘절충형 직선제’를 도입했다. 하지만 이 또한 ‘반쪽짜리’라는 지적을 끝없이 받았다. 완전 직선제도 아니고, 과거 제비뽑기도 아니어서 “미완의 민주주의며, 불합리한 제도”라는 것이다.

지난 17년 동안 사용했던 총회임원 선거 제비뽑기는 이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됐다. 물론 상비부장과 각 기관장의 선거는 여전히 절충형이 사용된다. 정치부는 “헌의안 중에 상비부와 기관의 선거제도 변경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선거규정도 총회임원회 선거만 변경하기로 했다.

한편 총회임원 추천도 7월로 변경된다. 대구중노회는 “노회의 총회임원 후보 추천을 7월로 변경하자”고 헌의했으며, 총회는 이를 허락했다. 부총회장 이승희 목사는 “봄노회에서 후보를 추천하면 6개월 동안 선거가 과열된다”면서 “투명한 선거 진행과 비용 절감을 위해서는 7월로 미뤄야 한다”고 설득했다.

직선제 실시는 장로교 정치제도인 민주주의를 회복하고, 총대들의 기본권을 되찾는 기회가 될 것으로 분석된다. 7월 추천은 직선제로 인한 선거과열을 예방하는 대안으로 풀이된다. 반면 음성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불법선거운동과 선거관리위원회의 독단 등을 예방할 제도도 함께 마련되어야 한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