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신대 재단이사 선정이 아쉽게도 또 이뤄지지 않았다. 12월 27일까지 이사 선임을 보고하지 않으면 관선이사를 파송하겠다는 교육부의 계고장을 받고 총회장을 비롯한 총회임원 측과 총신대 측간의 협력이 기대되었으나 이번에도 무위로 그치고 말았다.

총신대 재단이사 선정이 이뤄지지 않은 것을 두고 여러 가지 평가가 잇따르고 있다. 그 중에서도 긴급처리권을 가진 전 이사들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여론이 가장 비등하다. 그러나 전 이사들도 총회의 지시에 따라 사표를 내기도 하고, 현 재단이사장대행의 소집에 참석치 말라는 총회 측의 공문을 받고는 때로는 참석치 않기도 했다면서 볼멘 소리를 하고 있다. 그리고 이번에 ‘최후 소집’에 힘을 보태려고 했는데 전적으로 책임을 전 이사들에게만 돌리는 것은 가혹한 일이라고 항변하고 있다. 거기다 총회 측에서 언제는 회의에 참석하면 치리하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또 이번 같은 경우에는 참석치 않으면 무슨 불이익을 부여할 것 같은 태도에 불쾌감을 표시하는 이사들도 있었다.

두 번째 여론은 물론 개회가 되지 않아 언급조차 필요없는 얘기가 될 지도 모르겠지만 총회장과 재단이사장대행의 협상 대리인들이 조화를 이루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원래 총회임원 측에서는 부총회장 2인, 재단이사장대행 측에서는 고영기 한기승 목사를 협상 파트너로 선정하여 재단이사회를 원활하게 진행시키겠다는 의지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총회임원회 측에 개방이사회 추천위원들이 포함되면서 구성 비율이 한 쪽으로 급격하게 기울어졌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재단이사회 소집 전에 ‘불평등 회동’으로 인해 뻔한 결과가 도래할 것이라는 평이 무성하게 돌았다. 더욱이 총회 측에서 재단이사 수를 9명에서 이보다 더 많은 인원을 요구했고, 이사 선정도 서로 요구했던 사람과 상당히 거리가 멀었다는 의견들도 흘러나오고 있다.

또한 총회 중직자, 총신대 교수와 학생들 중에서 차라리 관선이사 파송을 원하는 자들이 있다는 여론도 결코 무시할 수가 없다. 이를 놓고 여러 갈래 해석이 나오지만 총회 내부적으로 정화능력이 없다면 교육부에 맡겨 처리하는 것이 오히려 나을 수도 있다는 자조적인 말들이 이를 뒷받침 하고 있다.

총신대 사태는 또다시 뚜렷한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공전하고 있다. 그래도 대화 창구는 열어두어야 한다. 그리고 현재 재단이사에 오르내리는 인사는 배제하고 새 인물을 선임하는 것이 총신을 위한 해법이라고 생각된다. 그 나물에 그 밥으로는 해결이 안된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