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신교회 신뢰도 조사서 ‘확산 주요인’으로 인식

“코로나19로 잃어버린 한국교회의 신뢰, 대사회적 구제활동과 통일된 재난 극복 메시지로 극복해야 할 때이다.”

한국기독교언론포럼(이사장:지형은 목사)과 장로회신학대학교 연구지원처가 ‘코로나19와 한국교회에 대한 연구’ 발표회를 4월 14일 서울 광장동 장신대에서 열고, 코로나19로 급격하게 하락한 개신교회의 사회 신뢰도 하락의 원인을 분석하고 대응과제를 제시했다.

조사 결과, 개신교회의 코로나19 대응에 대한 비개신교인의 불신이 강하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교회가 코로나에 잘 대응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도 목회자의 79.7%, 개신교인은 58.6%가 ‘그렇다’고 답한 반면, 비개신교인의 12.0%만이 동의했다. 또 ‘교회가 정부의 방역 정책에 잘 협조하고 있는가’라는 설문에 대해 개신교인은 62.7%가 ‘그렇다’고 응답한 반면, 기자 그룹은 25.5%의 동의율을 보였다. 비개신교인은 43.9%가 ‘전혀 그렇지 않다’고 응답했고, ‘별로 그렇지 않다’까지 포함하면 84.1%가 ‘잘 협조하지 않는다’는 비판적인 입장인 것으로 확인됐다. 

“코로나19 이후 개신교인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이 들었다”는 의견도 목회자의 64%, 개신교인의 52.9%, 비개신교인의 85.0%, 기자 그룹의 75.5% 등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교회가 비대면 예배로 전환한 것이 코로나19 확산 저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것에는 동의(개신교인 84.5%, 기자 79.4%, 목회자 77.0%, 비개신교인 74.8%)하지만, ‘사회가 요구하는 목소리를 교회가 잘 이해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목회자(66.3%)와 개신교인(56.5%)의 인식과 비개신교인(15.3%) 사이의 인식 간극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용근 대표(지앤컴리서치)는 “코로나19로 인해 한국교회가 코로나19 확산의 주요인으로 인식돼 대사회적 신뢰도를, 특히 비개신교인과 기자 그룹을 중심으로 크게 상실한 것에 대해 교회는 책임적으로 응답해야 한다”며 △재난 시 방역당국 유기적 관계 유지 △통일된 교회 실천 매뉴얼 제작 △대사회적 구제와 지원 △재난을 극복하는 통일된 메시지로 사회의 신뢰 회복 등을 과제로 제시했다. 


방역정책 준수 여부, 한국교회 신뢰도 영향 컸다

“코로나19 확산에 개신교회 책임 커” 응답 높아 … ‘이기적’ 이미지 탈피 시급

 

한국기독교언론포럼과 장로회신학대학교 연구지원처가 4월 14일 ‘코로나19와 한국교회에 대한 연구’ 발표회를 열고, 코로나19로 인한 개신교회의 사회 신뢰도 하락의 원인을 분석하는 시간을 가졌다.
한국기독교언론포럼과 장로회신학대학교 연구지원처가 4월 14일 ‘코로나19와 한국교회에 대한 연구’ 발표회를 열고, 코로나19로 인한 개신교회의 사회 신뢰도 하락의 원인을 분석하는 시간을 가졌다.

코로나19 확산 저지를 위해 대다수 한국교회들이 정부당국의 방역 수칙을 준수하고 예배와 소모임 자제 및 온라인 예배로 전환 등에 노력해왔지만, 일부 방역수칙을 지키지 않은 교회와 8·15 광화문 보수 집회 등으로 촉발된 반기독교적 정서 확산으로 한국교회 전체에 대한 사회적 신뢰도가 하락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기독교언론포럼(이사장:지형은 목사)과 장로회신학대학교 연구지원처가 공동주관 하에 지난 1월 6일부터 17일까지 (주)지앤컴리서치(대표:지용근)에 의뢰해 목회자(담임목사) 300명, 개신교인 500명, 비개신교인 500명, 언론인/기자 102명 등 총 1402개 표본을 대상으로 모바일 조사, 패널 온라인 조사 등을 진행했다. 더불어 3월 4일부터 12일까지는 4개 시민단체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병행했다. 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4월 14일 장신대에서 개최한 ‘코로나19와 한국교회에 대한 연구’ 발표회에서 코로나19 이후 한국교회에 대한 비개신교인의 불신이 강하게 나타난 것으로 확인됐다.

코로나19 확산, 한국교회의 책임?

무엇보다 코로나19 확산에 개신교회의 책임이 크다는 인식이 목회자(53.7%)와 개신교인(63.1%)을 비롯한 응답자의 모든 그룹에서 과반수가 넘게 나타났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표1> 심지어 비개신교인 응답자의 82.4%가 개신교회에 책임을 돌렸다.

그렇다면, 왜 이런 한국교회 책임론이 확산되었을까? 이를 유추할 수 있는 몇 가지 항목들을 살펴보면, 코로나19 발생 초기 정부의 방역 정책이나 수칙을 지키지 않은 일부 교회에 대한 언론보도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론된다.

“정부의 방역 정책에 잘 따르지 않는 일부 교회로 인해 한국교회 전체가 불이익을 당하고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 그룹에서 80% 넘는 동의가 나왔다. 심지어 대다수 문항에서 정반대 의견을 보이고 있는 목회자(87.3%)와 기자(87.3%) 그룹에서도 동일한 응답률이 나왔다는 것으로 비추어 볼 때, 방역 수칙을 어긴 일부 교회에 대한 언론보도로 인해 한국교회 전체가 ‘코로나19 확산의 주범’이라는 오명을 쓰게 된 것으로 유추된다.

이에 더해, “방역수칙을 지키지 않은 일부 교회가 아니었으면 코로나19가 확산되지 않았을 것이다”라고 답한 비개신교인 응답자가 전체의 62.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방역수칙을 지키지 않은 일부 교회가 아니었어도 코로나19가 확산됐을 것이다”는 응답은 목회자 그룹(77.7%)에서 가장 높은 반면, 비개신교인은 30.6%만이 동의했다.

이러한 부정적 인식은 교회의 예배 및 모임 자제, 감염수칙 준수 등에 대한 불신으로까지 이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교회가 예배 및 모임 자제, 감염수칙 준수 등 정부의 방역 정책에 잘 협조하고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목회자(91.0%)와 개신교인(62.7%)은 과반수 이상 긍정한 반면, 비개신교인은 13.2%의 응답자만이 ‘그렇다’고 답했다.<표2>

그렇다면, 코로나19와 관련해 응답자들이 개신교회에 어떤 문제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일까? 목회자를 제외한 세 개 그룹 모두 ‘정부 및 방역당국의 방역지침을 제대로 지키지 않은 것’을 가장 많이 꼽았다.<표3> 두 번째로는 ‘정부의 의도와 달리 방역지침에 대해 교회탄압이라고 대응한 것’이라고 답했다.
안타까운 것은 한국교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한국교회가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이웃을 위해 행한 선행까지도 묻히게 하고 있다는 점이다. “교회는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운 이웃을 돕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문항에 목회자의 68.7%, 개신교인의 54.1%가 동의한 반면, 비개신교인은 10.1%만이 동의했다.

종교 집회, ‘비대면’ 선호 우세

코로나19 상황 속 종교 집회에 대해서 ‘비대면’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교회가 비대면 예배로 전환한 것은 코로나19 확산 저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응답률이 목회자 77.0%, 개신교인 84.5%, 비개신교인 74.8%, 기자 79.4%로 모든 그룹에서 높게 나타났다.<표4> 더불어 ‘종교 집회를 비대면으로 하는 것이 좋다’는 응답률은 기자(84.3%), 비개신교인(81.6%), 개신교인(51.6%), 목회자(9.7%)로 나타났다. 개신교인 중에서도 19~29세 등 청년계층에서 ‘비대면’을 선호하는 응답자가 6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확산세가 적정 수준에 이르기 전까지는 예배를 비롯한 대다수 종교 집회는 비대면으로 진행하는 것이 한국교회의 사회적 신뢰도 회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개신교가 코로나19 상황에서 한국사회를 위해 어떻게 노력하는가에 따라 앞으로 사회적 신뢰도가 올라갈 수 있다”는 긍정적인 응답이 목회자와 개신교인은 물론, 비개신교인(75.0%)과 기자(84.3%) 등 모든 그룹에서 높게 나타났다.

지용근 대표(지앤컴리서치)는 “코로나19 이후 언론과 비개신교인들의 시선에 비친 개신교는 ‘이기적’이라는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지만, 개신교회가 사회와 적극적인 소통, 지역사회를 섬기는 공적 역할 강화, 진영화 논리에서 빠져나와 사회 전체를 품는 포용성 등을 보여주면 사회적 신뢰도는 다시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창호 교수(장신대)는 “교회의 공적 관계형성과 참여에 있어 정부로 대표되는 정치 영역 뿐 아니라 시민사회 영역을 포함해 공적 영역을 좀 더 넓게 이해하는 것도 필요하다”며 “정책이나 제도, 구조의 변화를 위해 정치 영역에 기독교적 영향을 끼치고자 할 때도 시민사회 영역에 참여함을 통해 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영향을 미치는 방식이 더 적절하고 유효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