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 보는 제105회 총회 주요 이슈] ③총신대 이슈
구 재단이사 소송 최종 기각, 교육부의 정상화 판단 관심
재정난 해소 위한 후원이사회 조직, 순수 후원활동 기대

최근 총회 내 최대 쟁점은 총신대 관련 사안이었다. 100회 총회 이후 총대들은 구 재단이사회의 김영우 전 총장 재선임과 교단성을 저버린 정관 변경으로 발발한 총신 사태에 대한 해결책과 정상화 방안을 꾸준히 논의해 왔다. 총신 사태가 일단락됐지만, 올해도 총신운영이사회를 복원하자는 헌의안이 상정돼 있어 논쟁이 예상된다. 아울러 임시이사 임기 연장 여부와 후원이사회 조직 보고 등도 초미의 관심사다. 다만 제105회 총회가 1박 2일로 열린다는 점에서 총회현장에서 총신대 이슈가 얼마나 논의될 수 있을지 미지수다.<편집자 주>

구 재단이사 소송 최종 기각

총신 사태 이후 재단이사회가 임시이사체제로 전환되고 새로운 총장이 선출됐지만, 구 재단이사들은 끝까지 저항했다. 구 재단이사 10명이 교육부를 상대로 임원취임승인취소처분 취소 소송(2020누33222)을 제기한 것이다.

소송은 구 재단이사 측의 참담한 패배로 마무리됐다. 구 재단이사들은 임원취임승인취소처분 가처분 신청을 했으나 기각됐고, 1심과 2심에서도 패소했다. 이어 일부 구 재단이사들이 대법원에 상고장을 제출했으나 인지대를 납부하지 않아 2심 판결대로 최종 기각으로 종결됐다.

이 결과는 총회와 총신대 입장에서 반가운 소식이다. 총신대는 김영우 전 총장과 구 재단이사의 잔재를 청산하며 선지동산 회복의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 아울러 임시이사체제 종결 여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번 소송에서 교육부가 패소하거나 대법원 상고심이 진행됐을 경우 임시이사 임기가 연장될 가능성이 높았다. 그러나 소송이 구 재단이사 패소로 종결되어, 총신재단이사회가 정이사 체제로 전환될 수 있는 청신호가 켜진 셈이다.

김영우 전 총장 재선임과 교단성을 저버린 정관개정에 반발한 총신의 학우들이 “총장 퇴진, 총신 개혁”을 외치며 시위를 진행하고 있다. 총신 사태 이후 임시이사가 파송됐으나 어느덧 임기 만료에 다다랐다. 105회 총회를 앞두고 총신재단이사회가 정이사 체제로 전환될 수 있을지 교단 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김영우 전 총장 재선임과 교단성을 저버린 정관개정에 반발한 총신의 학우들이 “총장 퇴진, 총신 개혁”을 외치며 시위를 진행하고 있다. 총신 사태 이후 임시이사가 파송됐으나 어느덧 임기 만료에 다다랐다. 105회 총회를 앞두고 총신재단이사회가 정이사 체제로 전환될 수 있을지 교단 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정이사 체제 전환 이목 집중

총신 사태로 2년 전 총신대에 파송된 임시이사의 임기는 오는 9월 18일까지다. 105회 총회 개회 직전에 임시이사체제 종결 여부가 결정이 난다는 얘기다. 따라서 총회에서도 이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사학법인 정상화 절차는 2가지 유형이 있다. 하나는 관할청인 교육부가 임시이사 선임사유가 해소되었다고 판단할 경우 사학분쟁조정위원회에 임시이사 체제를 종결시키고 정이사 체제로 전환을 지시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는 사학분쟁조정위원회가 임시이사와 학내구성원 등의 의견을 청취해 임시이사 선임사유 해소 여부를 심의하는 것이다.

현재 총회는 교육부가 사학분쟁조정위원회에 지시하는 전자의 절차를 통해 총신재단이사회 정상화를 꾀하고 있다. 전자가 후자보다 빠르고 확실하게 정이사 체제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육부 지시로 임시이사 임기가 종료되기에, 교육부가 이와 관련해 재심을 요청할 일도 없다.

김종준 총회장과 총신 관계자들은 “교육부가 정상화 단계에 왔다고 보고 임시이사체제를 종료해 정이사 체제로 전환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승현 재단이사장대행도 “임시이사가 (정이사 체제 전환에 대해) 평가하거나 보고할 일은 없을 것이다. 교육부 지시에 따르겠다”고 밝혀, 정이사 체제 전환에 교육부가 열쇠를 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교육부가 9월 18일에 임시이사체제 종료를 발표한다고 해도 정이사 체제 전환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사학분쟁조정위원회가 정이사 후보자 추천 비율을 정하고 이어 정이사를 선임하는 절차가 남아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총신재단이사회가 차기 이사회 이후 공포할 것으로 예상되는 총신대 정관개정안에도 이목이 집중된다. 재단이사회가 총회의 바람대로 임원과 개방이사 자격을 ‘본 총회 소속 목사와 장로’로 복원할지 관심이 모아진다.

후원이사회 재정난 극복 열쇠 되나

지난 7월 27일 열린 총회실행위원회는 총신대 후원이사회를 조직하기로 결의했다. 후원이사회는 각 노회에서 매월 30~50만원 후원할 수 있는 이사를 파송하여 순수한 후원 조직으로 꾸린다는 방침이다. 후원 외에 대학 운영에도 관여했던 총신운영이사회와 가장 큰 차이점이다.

이어 총회임원회는 104회 총회실행위원회 결의사항이므로 104회기 안에 후원이사회 조직을 마무리하기로 했다. 후원이사회를 통해 총신대의 재정난을 해소하겠다는 김종준 총회장의 의지를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후원이사회가 정상적으로 조직만 된다면 매월 4800만원~ 8000만원의 총신 후원금이 마련될 전망이다.

하지만 일각에서 후원이사회가 제2의 운영이사회가 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각 노회에서 1명씩 파송될 경우 노회 내 유력 인사가 후원이사로 파송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통해 또 다시 총회정치가 총신에 유입되지 않겠냐는 지적이다.

그러나 김종준 총회장은 후원이사회 정관에 정치 활동 제한을 명시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종준 총회장은 “정관에 대학 운영에 관여하지 않고 물질과 기도로 후원하는 이사회로 명시할 것이다. 다만 대학 운영에 대한 보고정도만 받을 수 있게 하겠다”면서, “정치 활동이 제한되면서 매월 적지 않은 금액의 후원금을 납부해야 하기 때문에 대형교회 목사나 기업가 출신 장로들이 후원이사로 파송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운영이사회 복원 여부, ‘1박 2일’ 총회가 변수

지난 봄 정기노회에서 10개 이상의 노회들이 총신운영이사회 복원 관련 헌의안을 상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바로 직전 총회에서 폐지한 운영이사회를 1년 만에 복원하겠다는 움직임이다.

총신운영이사회 복원을 지지하는 A 목사는 “운영이사회가 폐지돼 총신은 주인 없는 학교가 되었다. 각 노회에서 파송돼 학교 운영에 관여하는 운영이사회가 복원되어야 진정한 교단의 직영신학교가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운영이사회 대신 총신대 후원이사회를 조직하는 것에 대해 “전국 노회에서 얼마나 후원이사회에 참여할지 모르겠지만, 물질만 후원하고 학교 일에 개입하지 말라는 게 설득력이 있을지 의문이다”며, “의무를 이행하면 그에 대한 권리도 줘야 한다”며 비관적인 입장을 냈다.

김종준 총회장이 지난해 104회 총회에서 총신운영이사회 폐지를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김종준 총회장이 지난해 104회 총회에서 총신운영이사회 폐지를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총대들 사이에서는 총회결의를 1년 만에 뒤집는 행위에 대해 거부감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총신운영이사회 폐지를 유지하자는 B 목사는 “총회결의를 1년 만에 뒤집어 운영이사회를 복원하는 것은 총회결의를 무시하는 행태이며 총회의 행정력과 재정력의 낭비다”면서, “더구나 법적으로 보장된 게 없는 운영이사회는 복원된다고 해도 할 수 있는 게 거의 없다. 오히려 정이사 체제로 전환될 재단이사회 확대 구성과 후원이사회 조직에 힘을 쏟아야 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총회에서 총신운영이사회 폐지에 목소리를 높였던 김종준 총회장은 운영이사회를 통해 총회 정치세력이 총신에 파고들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종준 총회장은 “운영이사회는 총회 정치가 총신에 유입된 통로였다. 이들의 싸움으로 총신이 흔들리고 총신 사태가 벌어졌다”고 지적하면서, “총신이 비로소 회복의 길로 가고 있는 시점이다. 일부 노회에서 운영이사회를 복원하려는 움직임이 있지만 현명한 총대들이 이를 차단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종준 총회장의 전망과 같이 총회현장에서 총신운영이사회 복원 여부가 논의된다면 기각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105회 총회가 1박 2일로 열린다는 게 변수다.

만약 촉박한 일정상 총신운영이사회 복원 관련 헌의안을 총회현장에서 다루지 않고 총회실행위원회에 넘긴다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각 노회에서 파송된 총신운영이사와 총회실행위원은 해당 노회의 유력 인사가 많다. 더구나 이들 중 총신운영이사와 총회실행위원에 중복 선임된 경우도 많다. 따라서 총회정치에 경험이 많은 총회실행위원들은 일반 총대들에 비해 운영이사회 복원에 찬성 비율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총신운영이사회 복원 여부는 총회현장에서 다뤄지냐 아니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