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순웅 목사(주다산교회)

▲ 권순웅 목사(주다산교회)
남강 이승훈 선생이 있었다. 그는 범부로 살았다. 그런데 30세 청년 안창호를 만나고 충격을 받았다. 평양의 군중에게 외치는 사자후를 들은 것이다. 조선을 외세에 빼앗기지 않으려면 이전의 나쁜 습관을 버리고, 젊은이들을 교육시켜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는 자신의 상투를 잘라버렸다. 주초의 습관을 버리고 인생을 바꾸었다. 평양신학교 1회 졸업생인 한석진 목사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고난’이라는 설교를 듣고 회심했다. 그리고 오산학교를 세웠다. 그곳에서 기독 인재를 키워내었다. 조만식 선생, 라부열 선교사 등이 교사로 섬겼고 주기철 목사, 한경직 목사, 김소월 시인 등 한국 근현대사의 기둥들을 배출했다.

필자가 다녔던 대구 계성중고등학교가 있다. 아담스 선교사가 세운 학교다. 이 학교의 교훈은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이 지식의 근본”이라는 잠언 1장 7절의 말씀이다. 수많은 기독 인재를 배출했다. 특히 3.1운동이 일어났을 때 만세 사건으로 연루되어서 옥고를 치른 사람들이 많은데, 경북지역에는 반 이상이 계성학교 출신이라고 한다. 이승훈 선생이나 아담스 선교사를 통해서 볼 때 학교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건물이나 재정, 조직, 교육에 필요한 환경들이 아니다. 바로 교사다.

기독교학교교육연구소 박상진 교수는 한국기독교대안학교의 정체성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기독교’ ‘대안’ ‘학교’ 그리고 ‘한국’의 의미를 고려해야 한다고 말한다. ‘기독교’도 다양한 교파가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기독교대안학교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개혁주의 기독대안학교를 주장하는 것이다. 또 무엇에 대한 대안이냐는 것이다. 우리는 인본주의적 교육이나, 정체성이 불분명한 애매모호한 기독교적 교육에 대한 개혁주의 교육으로서의 대안이다. 그리고 학원과 구별되는 전인적 교육의 장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우리는 기독교국제학교라는 미명 아래 외국학교 입학을 위한 준비단계의 학교를 이루고자 지향하지 않는다. 이것은 정부도 싫어한다. 교육부의 시각은 그것은 학교라기보다 학원이 아니냐는 것이다. 개혁주의는 하나님께 영광 돌리며,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전인교육이다. 또 ‘한국’에 대한 지역화가 전제되는 교육인 것이다. 우리는 한국의 개혁주의가 뿌리를 내렸던 기독교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것을 기초로 하여 세계화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이처럼 기독교대안학교의 정체성을 개혁주의라는 관점으로 접근할 때 교사가 중요한 것이다. 짐 윌토이트는 기독교교육 사상을 실천하는 접근방법으로 네 가지를 말했다. 낭만주의적 접근은 학생의 잠재력에 주목하는 태도다. 전달주의적 접근은 학생의 잠재력보다 집단화를 통해 발전과 효율성을 기대하는 태도다. 발달주의적 접근은 학생을 과학자로 보고 교사를 조정자로 보는 것이다.

끝으로 변혁적 접근은 학생에 대해 신학적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타락한 존재를 그리스도의 십자가로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할 수 있는 존재로 보는 태도다. 바로 개혁주의적 입장이다. 개혁주의 기독대안학교는 개혁주의 사상을 가진 교사가 교육 전문성을 가지고 학생을 가르치는 곳이다. 교육의 현장에 깊이 들어가면 결국 사상의 대결이다.

다음세대에 무엇을 물려줄 것이며 어떻게 물려줄 것인가? 그래서 교사가 중요하다. 개혁주의 기독대안학교 운동의 첫걸음을 교사연수원 설립에 두는 목적도 바로 여기에 있다. 개혁주의 교사운동이 일어나야 한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