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교단·교계 결산

▲ “잘가라. 2015년이여!” 감사와 아쉬움을 남기고 2015년도 어김없이 저물어 간다. 사람들은 해마다 살기가 더 어렵다고 말하고, 한국교회의 입지도 점점 좁아지고 있다. 그러나 한국교회를 향한 하나님의 사랑을 신뢰하며 다시금 희망의 노래를 준비하자. 사진은 대치동 총회회관 옥상에서 오전 7시 50분부터 오후 4시 50분까지 다중촬영.  권남덕 기자 photo@kidok.com

교단  2015년 교단의 한해는 사실상 총신대 문제에 함몰되어 있었다. 총회 임원들이 오랜 정치현안을 한회기에 처리하기에는 절대적인 시간이 부족했고 운용의 기술도 다소 아쉬웠다는 지적을 받았다.

특히 총신대 문제는 교단 정치권 인사들이 대부분 연루되고, 사학법과도 연관되어 해결이 어려웠다. 총회는 총회결의와 총회법에 의거해서 압박했지만 총신대는 사학법을 의지해서 1년을 버텼다. 재단이사회 교체와 정관개정을 핵심으로 싸웠던 양자는 오랜 힘겨루기 끝에 총회장과 재단이사장간 합의서라는 깜짝 카드를 꺼냈고 총회는 울며 겨자먹기로 이 안을 받았다. 제100회 총회에서 재단이사 교체와 정관개정안을 발표했지만 총회임원회는 아직 이를 시행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 9월 제100회 총회는 총신대 문제 외에 오랫동안 교단을 괴롭혔던 아이티구호헌금전용사건, 납골당 의혹, 찬송가공회 이사 처벌 등에 대해 단호한 결의를 했다. 관계자들에 대해 공직 정지 등 강경한 교회법적 시벌을 했다. 이는 사법적 판결을 뛰어넘어 교단 차원의 정서를 그대로 반영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 역시 처벌을 받게 된 당사자들이 사회법에 호소하여 총회결의를 수용할 수 없다는 뜻을 밝혀놓은 상태다.

교단이 권위가 실추돼 주요 사건들에 대해 총회적 결의를 제대로 시행을 하지 못하는 일이 반복되는 가운데 총회를 향한 각종 고소고발이 끊이지 않았고 연말에는 목회자의 칼부림 사건이라는 초유의 일까지 발생했다. 총회 재판국과 선관위는 매년 부도덕한 기관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지 못했으며, GMS 등 총회 산하 기관도 바람잘 날이 없었다.

총회 관계자들은 현 상황을 과도기라며, 정치 판도의 변화라고 관측하고 있다. 분명한 것은 제100회 총회 결의를 통해 드러난 전국교회의 상식적이고도 개혁적인 정서를 기억하고 그대로 시행하는 것이 교단이 살 길이라는 사실이다.

교계  2015년 한국교회는 커다란 열망을 품었지만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
한국교회는 분단 70주년을 맞아 새해 벽두부터 복음적 평화통일의 기치를 한껏 들어올렸다. 이어 이슬람 공세, 동성애 문제, 종교인 과세,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쟁 등 시시각각 등장한 대사회적 이슈에도 목소리를 냈다. 하지만 한국교회의 외침은 실제적 해답을 내놓기 보다는 선언적 의미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올해는 한국교회를 둘러싼 수많은 이슈 사이에서 그 어느 때보다 내부 논쟁이 치열했다. 논쟁의 발단은 대부분 한국교회와 연관된 대사회적 이슈에서 비롯됐다. 목회자와 사역자 간의 시각차를 보인 통일운동, 찬반으로 갈린 종교인 과세와 역사교과서 국정화가 대표적인 예이다.

한국교회는 대화와 소통으로 접점을 찾기보다는, 둘로 갈라져 서로의 입장만 확인하고 제 갈 길로 갔다. 그러다보니 한국교회의 목소리에 힘이 실리지 않았고, 영향력 또한 줄어들었다.

한국교회의 숙원인 교회연합에 있어서도 제 실속 챙기기에 바빴다. 급물살 탔던 한기총과 한교연의 연합은 한기총의 이단 감싸기 행보로 무산됐다.

한기총은 이단옹호론자 상존과 재정 확보 등의 이유로 이단 해제라는 오명을 넘어, 다락방 류광수 측 가입절차까지 밟고 있다. 양 기관 연합에 있어 한기총만 바라보던 한교연은 헛물을 켠 셈이다.

삐걱거린 교회연합이 한국교회 내홍을 불러일으켰다면, 목회자 윤리 문제와 신학자 표절 문제는 사회적 비판이라는 화살을 몰고 왔다. 5년이 넘도록 마무리 짓지 못한 전병욱 목사 성추행 사건은 한국교회의 자정능력에 의문을 품게 만들었고, 유명 신학자의 표절 의혹은 한국교회를 향해 각성과 회개를 요구했다.

한국교회가 온 힘을 기울인 동성애반대운동과 통일운동은 대안 제시 측면에서 아쉬움을 남겼다. 동성애반대운동은 뚜렷한 대책과 전략을 내놓지 못한 채, 대결구도만 만들다가 오히려 동성애를 부각시켰다는 지적을 받았다. 통일운동 역시 분단 70년을 맞아 의제와 방향을 제시하기보다는 행사 치르기에 급급했다는 평가가 따라왔다.

  노충헌 정형권 송상원 박용미 기자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