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일 전쟁 후 일제는 황국 식민화 정책에 열을 올린다. 저들이 주장한 조선인을 일본으로 만든다는 동화주의가 전쟁동원의 논리에 맞추어지면서 내선일체의 논리로 변형된 것이 황국 신민화 정책이었다. 저들이 황국 신민화 정책을 부르짖은 것은 조선인들이 전쟁에서 총부리를 자신들에게 겨눌지 모른다는 불안감에서 생겨진 것이었다.

일제는 조선인이 천황을 위하여 싸우다 죽을 수 있는 황국 신민으로 만들기 위하여 민족 말살 정책을 감행한 것이었다. 저들은 1937년 10월 “황국 신민의 서사”를 제정한다. 이는 소위 충성맹세였다. 이 충성맹세는 성인용과 아동용의 두 가지였다. 황국 신민서사는 모든 학교에서 수업 전 암송하게 하였고 천황이 있는 동쪽을 향해 참배하게 했다. 어디 학교뿐이겠는가! 이 서사는 모든 관공서와 모든 단체의 조례시간에 언제고 제창하여야 했다. 뿐만이 아니었다. 모든 중학교에서는 한국어 교육을 전면 중단시켰다. 이는 소학교까지 이어졌고 일본어 사용을 의무화 하였다. 저들은 일본말을 잘하는 학생들에게는 벚꽃 문양의 꽃을 달아주면서 독려했고 꿈도 일본말로 꾸어야 한다고 가르쳤다.

1939년에는 창씨개명을 시작한다. 당시 창씨를 한 세대가 350만호로 전체의 80.3%였다. 당시 일제는 새로운 성씨를 제출하지 않으면 호주의 성을 그대로 일본식으로 바꾸어 불렸으므로 사실상 창씨개명은 100%를 다한 것이나 만찬가지였다. 창씨를 안 하면 불이익을 당해야 했다. 그 불이익은 자녀들의 입학과 진학을 막았고 모든 공직에서 직원채용자격을 박탈하고 있었다. 뿐만이 아니었다. 간악한 저들은 식량과 물자 보급에서 제외시켜 생활고를 주었고 아무 이유 없이 일자리에서 몰아냈는가 하면 불령선인으로 낙인을 찍어 사찰과 미행으로 괴롭혔다. 학교에서는 창씨를 거부한 자녀들은 머리에다 X자를 써서 돌려보냈고 창씨 거부자들은 노무징용의 대상자 1순위로 지목됐다.

당시 일제는 국민총력조선연맹이라는 조직을 동원해 황국식민화에 박차를 가했다. 국민총력조선연맹은 전국에 행정단위마다 상설된 관제조직이었다. 친일파들은 우리가 살길은 완전한 일본인이 되는 것이라고 선전했지만 일반인들에 대한 차별은 그 도를 넘어서고 있었다. 전쟁이 장기화 되면서 조선의 사람, 돈, 자원은 모두 침략전쟁에 동원되고 있었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