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 총회정책연구소 정책과제 선정 의미와 과제

상징성 큰 100회 총회 기점, 정책 총회 공감대 형성에 무게중심

총회정책연구소 운영위원회(위원장:장봉생 목사)가 총회 재판국원과 선거관리위원을 직선제로 세우자는 사안을 단기정책과제로 선정한 것은 파격에 가깝다.

엄밀히 따지면 총회정책연구소는 현재 인큐베이터 속에 있다. 다시 말해 운영위원회가 작업을 벌이고 있는 정관이 오는 9월 제100회 총회에서 통과될 경우에 공식적으로 출범하게 되고, 정책개발을 위한 활동에 돌입하게 된다는 뜻이다.

그런 의미에서 출발선상에서부터 정치적으로 민감할 수 있는 사안을 단기과제로 내건 것은 전격적이라 할 수 있다. 이 부분에서 정책연구소 운영위원들 사이에서도 갑론을박이 있었을 정도로 민감하게 작용했다. 민감한 사안은 이 뿐 아니다. 총회 규칙을 개정해 재판국을 비롯해 감사부, 신학부, 재정부에는 관련 전문가를 우선 배치하자는 안, 악용소지와 연좌제 문제가 있는 총회임원 후보 추천 후 등록을 포기한 경우에 대한 규제를 후보자 본인에게만 적용시키자는 안 등도 정책과제로 나와 있다.

<표1>을 보면 알 수 있듯, 단기과제로 내세울 무난한 정책들은 많다. 하지만 민감한 사안을 들고 나온 것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다. 이는 정책연구소 운영위원회가 9월 총회에 보고할 정책과제 서두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보고서 서문을 요약하자면, 자정능력 상실로 침체된 한국교회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교회의 신뢰회복이 선결과제인데, 국내 최대 교단이 앞장서 ‘깨끗한 총회(클린총회)’를 실현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고 밝히고 있다.

무엇보다 운영위원들이 주목한 부분은 바로 ‘제100회 총회’다. 사안이 다소 무게감이 있더라도 역사적·상징적 의미가 내포된 100회 총회를 ‘클린총회’ 원년으로 선포해, 교단 발전의 ‘모멘텀(가속도)’으로 삼자는 의식공유가 다른 때보다 적기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여기서 정책연구소에 대해 정치적 색안경을 끼고 바라보는 것은 섣부른 판단이다. 재판국원과 선관위원 직선제 선출 제안은 운영위원들이 임의로 만든 것이 아니다. 그동안 정책과제 수렴을 위해 가졌던 세 차례의 공청회에서 제기된 과제 중 일부분이다. 따라서 정책연구소에 대한 정치적 해석은 불필요하다는 의미다.

그러나 재판국원과 선관위 직선제 도입은 벌써부터 쟁점 조짐이 보인다. 정치권 일부에서는 현행 재판국과 선관위의 부작용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직선제를 도입할 경우, 또 다른 선거비리가 발생하기 때문에 난색을 표하는 실정이다. 동시에 기관에서 총회 헌의는 법적으로 불가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정책연구소는 지난 99총회에서 1500여 총회총대들이 정치 일변도의 총회를 탈피하고, 정책총회·대안총회를 기대하며 만들어 준 독립기관이다. 총회규칙상에도 총회산하 기관으로 규정돼 있는 만큼, 독립성을 가지면서 교단 발전에 필요한 정책들을 연구하는 기능을 감당하게 된다.

출발선상에 있는 정책연구소가 안고 있는 선결과제가 있다. 우선 제100회 총회에서 정책연구소 정관을 통과시켜야 하고, 정책연구소가 총회에 청원(헌의)이 가능하도록 해법을 찾아야 한다.

이와 동시에 공청회와 간담회를 통해 수렴한 의견들을 연구하되, 정치성을 탈피하는 활동을 벌이는 기관임을 인식시켜야 한다. 무엇보다 향후 교단 구성원들이 공감하고 공유할 수 있는 정책들을 수립해야 한다. 아무리 좋은 것이라 한들 몸에 익은 것이 아닌 이상 불편해 하는 것은 보편적이기에, 구성원들의 공감대 형성은 필수이기 때문이다.

정책연구소를 바라보는 교단 구성원들의 아량도 요구된다. 발아를 위해 인큐베이터에 있는 정책연구소가 제대로 뿌리내리고 열매를 맺을 수 있도록 긴 호흡을 갖고 기다려주는 여유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