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정책 틀서 제자리걸음 … 교류 확대 역할 커져야

분단 70주년 한국교회 통일운동 중간점검

분단 70주년을 맞은 2015년, 한국교회는 복음적 평화통일의 원년으로 삼자며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1월 1일 임진각에서 열린 ‘한국교회 평화통일 신년기도회’를 시작으로 통일비전캠프, 70주년 기념세미나, 3·1절 특별기도회, 국제심포지엄, ‘다함께 평화’ 통일기도회까지. 예년보다 통일 관련 행사가 두 배 이상 늘어났다. 또 교계단체들의 연합행사가 꾸준히 열리는 것도 눈에 띄는 모양새다.

하지만 올해 열린 통일 세미나나 기도회의 내용을 살펴보면, 평화통일의 기치를 한껏 내걸었지만 그동안 제시된 정책을 되풀이하거나 선언적 의미에 그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이유로 한국교회의 통일운동이 여전히 현상 유지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한국교회는 복음적 평화통일이라는 뚜렷한 목표를 갖고 있지만, 독자적이고 주도적인 통일운동을 펼쳐내지 못하는 현실에 있다. 가장 큰 원인은 한국교회의 통일운동이 정부 정책의 틀 안에 갇혀 겉돌고 있기 때문이다. 현 정부의 대북정책은 7대3 정도로 봉쇄압박이 화해협력보다 우위에 있다. 이명박 정부 때보다 나아졌지만, 교회나 민간단체의 인도적 지원과 대북 교류가 여전히 가로막혀 있는 실정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한국교회에서 뾰족한 평화통일 방안이 나와도 서랍장에 들어가기 일쑤고, “기도하며 통일의 때를 기다리자”는 생각이 만연돼 있다. 물론 한반도 통일의 주관자는 하나님이다. 따라서 지속적인 기도를 해야 한다. 여기에 보태 통일을 앞당길 수 있는 실제적인 운동을 전개한다면 어떨까.

한국교회가 무엇보다 먼저 할 일은 각 교단과 통일단체들이 연대하여 정부에 성명을 보내는 것이다. 즉 한국교회가 앞장서 정부를 향해 대북정책 변화와 민간단체의 인도적 지원의 폭을 넓힐 것을 촉구해야 한다. 독일의 사례에서 보듯 접촉이 쌓이면 통일이 보이기 마련이다.

과거 서독과 동독은 동서독 기본조약 이후 군사적·정치적으로는 대립했지만, 민간교류를 가로막지 않았다. 그 결과 18년 만에 통일을 이룩했다. 중국과 대만도 마찬가지다. 양국은 15년 가까이 민간교류를 확대하여 현 시점에서 통일이 90%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평화와통일을위한기독인연대 최은상 사무총장은 “독일의 사례처럼 민간교류 확대가 한반도 평화통일의 단초가 될 것이고, 특히 한국교회가 민간교류의 중심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면서, “한국교회가 정부에 대북지원 규제 완화를 촉구하여 남북화해의 활로를 연다면, 통일이 벼락같이 다가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분단 70주년이 정확하게 반이 지났다. 연말까지 8·15 기도회를 비롯해 통일 관련 행사가 이어질 예정이다. 남은 6개월 한국교회가 남북관계의 변화를 주도하는 통일운동을 전개한다면, 2015년이 통일의 축포를 쏘아 올린 원년으로 기억될 것이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