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논란 개입 여지 여전히 커… “폭넓은 의견수렴 계속, 정책 아젠다 세울 것”

세 차례 공청회 마친 ‘총회정책연구소’ 기대와 우려 섞여


“이번 기회에 반드시 생산적인 정책총회로 가야 한다.” “정치성향이 짙은 분위기 속에서 정책총회가 가능하겠는가?”

세 차례의 공청회를 치른 총회정책연구소 운영위원회(위원장:장봉생 목사·이하 총회정책연구소)를 두고 나오는 반응들을 집약하면, 정책총회에 대한 기대감과 회의감이 혼재해 있는 것이 현주소라고 보면 맞다.

갈수록 정치성이 짙어지는 총회 분위기와 위기에 직면한 교회의 현실 앞에 생산적인 총회, 정책총회를 요청하는 목소리가 그동안 높았다. 그 결과 지난 99총회에서 총회정책연구소를 전격 태동시켰다. 그것도 상설기구라는 격상된 지위까지 부여했다.

이런 가운데 총회정책연구소에 대한 회의적인 반응이 나온 것은 크게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다. 우선, 선례가 있기 때문이다. 2000년을 앞두고 21세기교단부흥발전기획단을 조직해, 새로운 밀레니엄 시대에 교단의 비전을 수립하는 작업을 펼쳤다. 그러나 이내 사장되고 말았다. 이어 21세기교단비전공동기획위원회를 가동키로 했으나, 이 역시 어떠한 활동도 없이 사라져 버렸다. 자극적이지 않는 사안에 대해서는 쉽게 지루함을 보이는 총회 현장에서 총회정책연구소가 제안하는 안건들이 제대로 채택되고 정책에 반영될 것인가에 물음표를 던진 이유도 이런 맥락에서다.

또 다른 회의적 반응은 세 차례의 공청회에서 현 총신대 사태를 염두에 둔 발제와 제안이 많았다는 점이다. 총회정책연구소가 갖는 딜레마가 바로 이 부분이다. 현실을 도외시한 정책이 있을 수 없지만, 반대로 정치논리로 정책을 세운다면 정체성에 도전을 받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총회정책연구소 운영진도 이 부분에서 고민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다고 미리 부정적인 반응을 보일 필요는 없다. 정치일변도 속에서도 교단의 비전과 정책 근간을 세울 정책연구소를 상설로 가동할 수 있었던 것도 다수의 총대들의 열망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다시 말해 건전한 정책이 있고, 비전 있는 교단으로 세워지기를 기대하는 여론이 높았던 결과였다. 바로 이 점에서 정책연구소는 의기소침하는 소극적인 자세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세 차례의 공청회를 통해 밑바닥 정서를 훑은 총회정책연구소는 전국 노회장과 증경총회장단을 대상으로 두 차례 더 정책 수립과 관련해 의견을 청취할 예정이다. 정책 과제를 다양한 계층에서 폭넓게 수렴하겠다는 의지다.

총회정책연구소 운영위원회의 지금까지 활동을 볼 때, ‘탈정치, 중장기 정책 우선 수립’이라는 대원칙에 근거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운영위원회를 이끌고 있는 위원장 장봉생 목사도 바로 이 점에 주목하고 있다. 장 위원장은 우선 공청회와 관련해 “예상보다 반응이 좋았다. 교단에 대한 총회 구성원들의 생각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고, 무엇보다 정책 과제를 수립하는데 좋은 대안을 얻는 효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이어 그는 “연구소가 자칫 단기적인 정책을 내놓을 경우 정치논리에 빠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제 막 첫 걸음을 뗀 입장에서 우리 교단이 나가야 할 중장기적인 정책을 수립하는데 무게중심을 두고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두 차례의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100회 총회에 내놓을 정책 아젠다를 정리할 계획”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