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3월 합동교단이 서울시와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 절약 실천 확산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고 박원순 시장(앞줄 오른쪽 다섯번째)을 비롯한 관계자들과 한 자리에 모여 협력을 다짐하고 있다.

‘창조세계 보존’ 총회의지 적극 알리고 다져가야

목회자 인식 전환 위한 교육 훈련 중요
녹색교회·환경주일 제정 통해 실천가능한 사역기반 확대해야

올해 초 IPCC(기후변화에 대한 정부간 협의체) 보고서에 따르면, 2100년까지 지구의 평균 온도 상승 폭을 2도 이하로 억제하기 위해서 한국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0년 대비 30~50% 줄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약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으면 2100년 지구의 평균 온도는 지금보다 3~5도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경고도 덧붙였다.

이렇듯 지구의 오염과 기후변화가 인간의 삶을 위협할 정도로 심각해지고 있어, 이제는 각 개인이나 정부 뿐 아니라 교회와 교단 차원에서도 환경 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따라서 이번 99회 총회에서 기후환경위원회를 신설하고, 교단이 환경보호에 힘을 쏟기로 한 것은 매우 혁신적이며 고무적인 일로 평가되고 있다.

왜 환경인가?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은 하나님께서 인간이 아름답게 살 수 있도록 만들어 주신 것으로, 우리는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이것을 지켜나가야 할 의무가 있다. 인간이 자연보다 우월하게 창조되었다면 그 입장에서 환경을 아끼고 보호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이제는 환경이 인간의 생명을 좌지우지할 만큼 파괴되어, 인간이 살아남기 위해서라도 환경을 살려야 하는 입장에 놓여있다.

생태신학자 송준인 목사(청량교회)는 “자연이 인간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자연과 인간 모두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존재한다”며 “우리는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존재하는 자연만물을 하나님의 뜻대로 돌보고 보살피는 종이기에 생태파괴는 하나님의 영광을 가로막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기후환경위원회가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활동에 임해야하는 이유다.

‘실천 가능성’ 염두에 둔 사역 시급

사실 합동 교단이 기후환경에 관심을 두기 시작한 것은 올해 초부터다. 지난 3월 서울시와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 절약 실천 확산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면서 △교회별 자율에너지 절약 실행 △햇빛발전소와 같은 청정 자연에너지 생산시설 보급 △친환경 LED 이용확대 등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일에 협력하기로 했다. 그러나 협약만 맺었을 뿐 구체적인 홍보를 하거나 눈에 띄는 사역을 한 것은 없었다. 대신 교단이 서울시와 협약을 맺고 ‘에코마일리지’ 제도를 개교회에 홍보, 상당수의 성과를 올린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제 본격적으로 기후환경위원회가 신설된 만큼 위원회가 환경보호의 필요성을 알리고, 환경보호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홍보하는 등 전국 교회가 하나님의 창조세계 보호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교단 차원에서 할 수 있는 기후환경 정책을 뼈대부터 튼튼히 세워, 지속가능하고 효과적인 사역을 진행해야 하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필요성에 대한 홍보와 목회자 교육이다.

목회자 인식 전환 가장 큰 숙제

사실 생각 외로 많은 목회자와 개교회들이 기후환경의 중요성을 모르고 있었다. 지난 99회 총회에서 기후환경위원회 신설을 논의할 당시 정치부는 ‘기각’을 요청했고, 후속 발언이 있기 전에는 대다수의 총대들도 이에 수긍할 만큼 기후환경 문제는 목회자들의 시선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다. 때문에 환경보호의 필요성을 정확하게 알리고 목회자들의 인식을 바꿔놓을 수 있는 사역 마련이 최우선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한국교회환경연구소 유미호 실장은 “환경주일을 만들어 개교회들이 환경에 대해 생각해보고 기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든지, 세미나와 컨퍼런스를 통해 환경보호의 중요성 및 방법을 알리는 등 다양한 사업들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조언했다. 특히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면 환경보호에 대한 인식이 개교회 성도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환경보호가 성도들의 일상생활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방법들이 요구되고 있다.

더불어 환경보호를 잘 하고 있는 ‘녹색교회’를 선정해 시상하거나 노회별로 기후환경위원회를 설치해 각 지역 자치단체와 연합 활동을 벌이는 등 다양한 아이디어들이 제시됐다.

유미호 실장은 “총대로 구성된 위원회 이외에 향후 위원회를 계속 이끌어나갈 수 있는 전문위원들을 선정하는 것도 위원회 신설에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라며 “기후환경위원회가 정착된다면 에너지절약, 생명밥상, 재활용, 대중교통 이용 등 그 범위를 확대해나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