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만에 헌법 개정 “시간 두고 꼼꼼하게”

‘세습금지’ 1년전 결의 뒤집고 “용어도 쓰지말라”
은급재단 발전안 “연구 더”…노회정비개편 무산



1년 동안 각 상비부와 위원회에서 열심히 연구했지만, 총대들의 마음을 얻지 못하고 부결된 청원도 상당수다. 그 중에는 꼭 필요하지만 미진한 부분이 있어 아쉽게 부결된 안건들도, 혹은 총대들의 극렬한 반대로 부결된 안건들도 있었다.

헌법개정안 부결

100년 만에 전면적 개정을 시도했던 헌법 개정안은 부결됐다. 헌번전면개정위원회는 헌법의 전면적 개정의 당위성을 강조하면서 “이번 총회에서 반드시 통과시켜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권성수 목사가 신앙고백서(신도게요)를 비롯한 소요리문답·대요리문답의 새번역을 소개하며 “고백서와 문답서를 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새롭게 번역했다”면서 “현대적 문구로 바꾸고 성경 구절도 다시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반해 신중론도 강했다. 김희태 목사는 “헌법은 간단명료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개정안은 해설집과 같고 또한 개악적인 부분도 있다”고 지적하면서 “성급하게 통과시키지 말고 2년 동안 기간을 두고 분야별로 공청회를 열어 문제점을 보완해 나가자”고 제안했다. 류재양 장로는 “명칭에 문제가 있다”면서 전면적 개정이 아니라 ‘개정위원회’로 변경하자고 발언하기도 했다. 결국 총대들은 2년 동안 연구하기로 하고, 위원회에는 장로도 포함되도록 했다. 구성은 총회임원회에 맡기기로 했다.


세습금지 철회

최근 사회적으로도 관심이 된 ‘세습’이라는 단어는 사용이 금지됐다. 정치부는 “세습 용어 사용 금지 및 (담임목사 청원을) 헌법대로 한다”고 보고했다. 교회세습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헌의안이 올라왔다. 지난해 총회는 “세습은 불가하다”고 결의했다. 그러나 올해 총회는 지난해와 반대되는 결정을 내렸다. 한성노회는 세습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말 것과 담임목사 청원 시 헌법대로 집행하자고 헌의했으며, 총대들은 만장일치로 결정했다.

이에 앞서 열린 정치부 회의에서 부원들은 “담임목사의 자녀는 후임이 될 수 없다는 것은 역차별이다. 청빙위원회와 공동의회를 통해 민주적인 절차를 통해 담임목사를 모시는데, 일부 안티세력이 세습이라는 용어를 사용해 교회가 불법한 집단인 것처럼 호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치부원들의 의견은 전체 총대의 정서를 그대로 반영한 셈이다.

한편 교회세습에 대한 다른 헌의도 있었다. 서대전노회는 지난해 교회세습불가 결의를 총회 회의록에 채택하지 않고 보류한 총회임원회를 진상조사처리하자고 헌의했다. 그러나 총대들은 서대전노회의 헌의를 기각시켰다. 또한 △세습금지 세칙 제정의 건(안주노회) △교회세습불가 결의 조속시행과 교회세습 불가 시행세칙 마련을 위한 연구위원회 설치(서대전노회) 등도 채택되지 못했다.


은급재단 발전안 1년 더 연구

지난 회기 가장 큰 성과물 중 하나였던 은급재단 발전안은 당장 시행이 어렵게 됐다. 대신 총회에서는 은급재단 발전안 연구가 더 필요하다는데 뜻을 같이하고 1년 더 연구키로 했다.

은급재단발전위원회의 16쪽 짜리 보고서는 은급재단에 대한 그간의 불신 해소와 안정적인 재정 확충 계획 등이 두루 담겨 주목을 받았다. 주요 내용으로는 총회의 은급재단 지원액을 현행 2.0%에서 0.5%로 증액하고, 목회자의 연금 가입을 의무화하며, 2년 후부터 총회 각종 선거 입후보 자격에 연기금 가입을 의무화시킬 것 등이었다. 또 은급재단 재정 확충을 위한 재원 마련과 납골당 손실금 지원을 위해 총회세례헌금 납부율 확대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총회에서는 당장 시행하기에는 우려되는 부분이 많다는 의견에 막혀 채택되지 못했다. 설문조사를 실시해 전국 교회의 의견이 반영되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애초에 은급재단발전위원회는 지역별 공청회를 열 계획이었다가 재정 문제로 무산되고 말았던 터라, 결과적으로 아쉬움이 남는 부분이었다.

발전안이 채택되지 못했지만 총회에서는 은급재단 발전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차기 위원회는 총회임원회가 구성토록 했는데, 연구의 연속성과 심도 깊은 연구를 위해 전 회기 위원들의 활용이 필요해 보인다.


노회정비개편 후속조치 무산

노회정비개편도 연구 계획 수립에만 그치게 됐다. 2년째를 맞은 노회정비개편연구위원회는 현 지역교회 경계정비, 무지역노회 확산 제한조치, 국가행정단위 기준 완전 지역노회 제도 실시 등을 골자로 한 노회지역정비 추진사항을 보고하고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지역정비 시행과 위원회 지속 청원을 했으나, 보고서만 받고 청원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교단이 갈수록 무지역화되고 있다’는 우려가 현실로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2년여의 노회정비개편은 여전히 교단의 과제로만 남게 됐다.

총회에서는 특별히 구개혁측 목회자들의 반대 의견이 많았다. 구개혁측은 교단 합동 당시 구개혁측은 특정 지역을 배정받지 못했다며,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작정 지역을 정비하는 것은 구개혁측 노회들을 없애자는 말밖에 안된다고 비판했다.

노회정비개편이 미뤄지게 된 데는 위원회의 책임도 적지 않다. 위원회는 지난 회기 여러 차례 지역별 공청회를 열긴 했지만, 첫 회기 때와 마찬가지로 의견 수렴에만 그쳤고, 제각각인 의견들을 한 데 통합하거나 설득하는 노력이 부족했다. 결과적으로 공청회에서 나온 반대 의견들이 총회에서도 고스란히 나왔고, 결국 총회에서는 회기 연장도 못한 채 활동을 마감하게 됐다. 그러나 노회정비개편 연구는 교회와 교회, 노회와 노회 간 갈등 속에서 나온 활동으로 비슷한 상황이 반복되는 한 다시 필요성이 제기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