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후보별 기독교적 가치 실천 가능성


“기독교 가치 실천 문 후보가 앞서”

10개 정책항목 전문가 설문서 문재인 70.4, 박근혜 55.6점
박 ‘안보’ 문 ‘통일’서 상대적 우위… “양 후보 국민통합은 미흡”

이제는 대선이다. 제18대 대선이 3주 앞으로 다가왔다. 야권 후보 단일화, 경제민주화, 국민통합 등 각종 이슈를 쏟아내며 이번 대선의 관심도는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본지는 기독유권자의 올바른 정치참여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지난 3월 ‘2012 그리스도인의 선택/총선’에 이어 ‘2012 그리스도인의 선택/대선’편을 3회에 걸쳐 게재한다. 이번 기획에서는 대선 유력주자인 박근혜·문재인 후보의 기독교적 가치 실천 가능성을 알아보는 한편, 경제민주화와 국민통합 등 대선 주요 정책을 성경적 관점을 토대로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편집자 주>

고영근 사무처장(희년함께) 권영준 교수(경희대) 김정욱 교수(서울대 명예) 박명수 교수(서울신대) 백종국 교수(경상대) 이원규 교수(감신대) 정무성 교수(숭실대) 정병오 대표(좋은교사) 정승원 교수(총신대) 정재영 교수(실천신대) 주도홍 교수(백석대)가 설문에 참여했으며 두 후보의 점수 편차가 가장 큰 1개의 설문을 제외하고 10개의 설문을 반영했습니다.

박근혜 55.6p 문재인 70.4p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가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에 비해 기독교적 가치 실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1월 21일부터 25일까지 기독신문이 실시한 ‘대선후보 정책에 따른 기독교적 가치 실천 가능성’ 전문가 설문조사에서 평균 70.4p를 차지한 문재인 후보가 평균 55.6p에 그친 박근혜 후보를 14.8포인트 차로 따돌렸다.

이번 조사는 지난 3월 총선기획 당시에도 확인한 바와 같이, 기독교인 올바른 후보자 선택 기준은 ‘기독교적 가치 실현 가능한 인물’이어야 한다는 대전제를 달았다. 이에 따라 10개 기독교적 가치를 선정해 교계와 학계 전문가 10명에게 실천 가능성을 의뢰했다.

10개 항목에는 하나님의 성품인 인애, 공평, 정직과 성경에 나타난 기독교적 가치인 공존, 평화, 생명 그리고 시대적 과제인 화합, 소통, 비전, 교육을 포함시켰다. 각 항목의 점수는 최대 10점(매우 높다)에서부터 최저 0점(매우 낮다)까지로 각 항목당 최고점은 100점(최고점 10×전문가 수 10명)이다. 또 설문 대상 대선후보는 유력주자인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와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로 한정했다.

문재인 모든 항목 우위

▲ <표1> 박근혜·문재인 후보의 기독교적 가치 실천 가능성 평균 점수(100점 만점)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문재인 후보가 10개 항목 모두에서 박근혜 후보에게 우위를 점했다.
특히 하나님의 성품으로 기독교적 가치 실현 여부의 구체적인 잣대가 되는 인애, 공평, 정직 항목에서 문 후보는 각각 72p, 79p, 67p 획득해 55p, 56p, 55p의 박 후보를 압도했다.

전문가들은 복지체계 개선과 양극화 해소(인애), 기회의 균등과 공정한 잣대(공평), 진실 추구 및 청렴(정직)과 관련해 문재인 후보 정책을 박근혜 후보 정책보다 높이 평가했다.

반면 박 후보는 국가 미래정책의 적임자를 선정하는 비전 항목과 건강한 다음세대를 길러내는 교육 항목에서 둘 다 59p를 받아 타 항목에 비해 문 후보와 가장 근접한 평가를 받았다.
이에 비해 문 후보는 비전 61p, 교육 65p로 평균(70.4p)에 밑돌았다. 무엇보다 차기 대통령의 비전이 국가의 10년, 20년을 좌우한다고 볼 때 비전 항목에서 최하점을 받은 것은 우려 사항이다.

박근혜 평화 최고점, 문재인 공평 우세
정책별로 보면 대선 최대 쟁점인 경제민주화와 관련된 항목이라 할 수 있는 인애, 공평, 공존에서도 문재인 후보가 평균 76.3p로 평균 56p의 박근혜 후보를 제쳤다. 전문가들은 재벌개혁의 기치를 내건 문 후보의 정책에 동조한 반면, 기존 순환출자 제한, 재벌총수에 대한 국민참여재판, 대기업집단법을 제외한 박 후보의 정책에 낮은 평가를 내렸다.

또 다른 주요 대선 쟁점이라고 할 수 있는 국민통합과 연관 항목인 화합과 소통에서도 문 후보가 우세했다. 문 후보는 화합 63p, 소통 70p를 받아 각각 58p, 44p 받은 박 후보를 따돌렸다.
특히 과거사 문제로 곤욕을 치른 박 후보는 10개 항목 중 화합의 시발점이라 할 수 있는 소통 항목에서 최저점을 받았으며, 문 후보 역시 화합 실천 가능성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아 두 후보 모두 국민통합의 적임자로 부족한 면을 보였다.

통일 및 안보 정책의 밑그림인 평화 항목에서는 문 후보가 74p로 높은 실천 가능성을 보인 가운데, 박 후보도 10개 항목 중 최고점인 60p를 받아 선전했다. 경색된 남북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두 후보 모두 남북대화 재개를 공약으로 내건 가운데 박 후보는 안보에서, 문 후보는 통일 정책에서 실천 가능성을 높게 평가한 것으로 보인다.

하나님의 창조 질서 보존을 다룬 생명 항목에서는 문 후보가 75p, 박 후보는 53p로 무려 22포인트 차로 문 후보가 앞섰다. 4대강 사업과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유래 없이 환경 정책이 주요 이슈로 떠오른 상황에서 4대강 재자연화와 탈원전 로드맵 추진을 공약으로 내건 문 후보가 미온적인 반응을 보인 박 후보를 압도했다.

-----------------------------------------------------------------------------

“하나님의 시대정신 물어야”

기독교 이익 대변하는 묻지마식 투표는 위험

[인터뷰]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이덕주 교수

“기독인들은 묻지마 투표가 아니라 하나님의 시대정신을 물어야 합니다.”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이덕주 교수(감신대)는 역사적으로 볼 때, 특정 지역이나 종교에 소속되어 있다고 표를 몰아준 결과, 사회는 오히려 병들어 갔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기독인들은 어떤 투표를 해야 할까? 이덕주 교수는 ‘시대정신’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역사의 주관자이신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인들에게 맡기신 시대적 과제를 묻고, 이를 제대로 구현할 수 있는 후보와 정당을 지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덕주 교수는 기독교의 시대정신은 역사적으로 다르게 표출됐다고 설명했다. 구한말 기독교는 교육, 문화, 경제 등 사회 전반에 선각자의 역할을 했다.
그러나 일제의 식민통치가 시작하면서 양상은 달라졌다. 대다수의 성도들은 일제에 항거했지만, 장로교 총회의 신사참배 결의처럼 식민통치에 타협하는 이들도 생겨났다.

“이때부터 기독교에 양면성이 나타납니다. 일제에 항거하는 예언자의 역할과 세상과 타협하는 세속의 역할로 양분되지요. 일제 강점기 때 생겨났던 양면성은 현대 사회까지 이어집니다.”
해방 후 건국의 주역들은 기독교적 가치관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이승만 정부는 기독교 가치를 가진 정부를 꿈꿨다. 그러기에 정치와 사회 곳곳에 기독교 정신이 베어 들었다.

그러나 정치세력과 기독교 교권주의자들이 결탁하면서 시대정신은 결국 후퇴하게 됐다. 이덕주 교수는 “정권을 유지하고픈 자유당은 교권주의자들과 손을 잡았으며, 이들의 커넥션은 동반 타락이라는 결과를 낳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역사적 아픔은 김영삼·이명박 정부에서도 동일하게 일어나고 있다”고 말한 이덕주 교수는 “기독교 이익을 대변하기 위한 정치 참여는 시대정신이 아니다”고 잘라 말했다.

이덕주 교수는 1970년대 이후 한국교회가 폭발적으로 성장하자 정치권은 기독교를 이용했다고 설명했다. 정치인들은 기독교를 정치 수단으로 활용하고, 성도들을 표밭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이어 이승만 정권 때는 기독교 국가를 구현하기 위해 기독교 정치인을 내세웠다면, 김영삼·이명박 정부 때에는 반대로 정치인들이 기독교를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김영삼 대통령 때부터 정치인들은 기독교를 철저하게 이용했습니다. 단적인 예로 교회 예배에 얼굴을 내미는 겁니다. 그리곤 바로 사찰에서 합장을 하죠. 이들은 기독교의 가치나 교리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이런 현상은 이명박 정권에서도 동일하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결국 빛과 소금이라는 시대정신은 온데간데 없고, 오로지 정권을 위한 집단이기주의만 남았다는 것이다. 이덕주 교수는 “따라서 몰아주기식 투표는 지양하고, 하나님이 원하시는 시대정신을 먼저 분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