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 극복 학교 구성원과 함께 풀어야”

학교측 ‘경쟁력 확보’ 차원 추진에 ‘일방적’ 반발 … 학생들 ‘공동 대책위’ 제안

 

▲ 학교의 내부적 한계와 학력인구 감소라는 외부적 상황이 총신대에 어두운 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총신대는 급변하는 상황에 맞게 자신을 변모시킬 수 있을까. 변화를 위해서는 학교 구성원들의 화합과 결속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총신대학교는 지난 8월 31일 대학 살생부로 일컫는 ‘2013학년도 정부재정지원 제한 대학 및 학자금대출 제한 대학’에 포함되지 않았다. 교육과학기술부는 해마다 전국 337개 대학 및 전문대학을 대상으로 취업률 재학생충원률 전임교원확보율 등을 평가하고, 하위 15%에 해당하는 대학에 대해 재정지원 및 학자금대출 지원을 중단하고 있다. 올해 총신대는 각고의 노력 끝에 하위 15%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내년에도 무사히 넘길 것이란 확신을 못하고 있다.

구조조정이 필요하다

재단이사회를 비롯해 총신대 경영자들은 학교가 처한 상황을 고려할 때 ‘구조조정을 통한 학교 경쟁력 확보’가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그래서 최근 구체적인 사업으로 ‘학과 구조조정’을 시작했다.

학과 구조조정은 두 가지 목적을 갖고 추진되고 있다. 교과부에서 하위 15%를 선정하는데 평가지표가 되는 ‘취업률’을 높이겠다는 것과 변화된 교육환경에 맞춰 다양한 학과를 개설하겠다는 것이다. 학교 운영자들은 역사교육과 유아교육과 교회음악과의 정원을 축소하고, 유아특수교육과와 기독교실용음악과(CCM학과)를 새로 개설하겠다고 밝혔다.

이 계획에 따라 역사교육과는 현재 정원 30명 중 8명을 줄이고 유아교육과는 50명 중 10명을, 교회음악과는 70명 중 15명을 줄이도록 했다. 역사교육과와 유아교육과에서 감원한 18명으로 유아특수교육과를 신설하고, 교회음악과에서 감축한 15명으로 기독교실용음악과를 새로 만들 예정이다.

학교 관계자는 이들 학과의 취업률이 상대적으로 낮고 새로운 학과 도입의 필요성 때문에 구조조정을 진행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절차도 논의도 없는 결정

그러나 정원축소라는 구조조정을 당하게 된 학과는 물론 총학생회도 이번 결정에 크게 반발하고 있다. 무엇보다 “해당 학과와 학생들의 의견이 철저히 배제된 채 일방적이고 강압적으로 정원 조정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학과 정원 축소와 새로운 학과 개설은 내년 2014년도 입시부터 시행할 계획이었는데, 추진 과정에서 “올해 2013학년도 입시부터 역사교육과와 유아교육과 정원을 줄이고 유아특수교육과를 신설하겠다”는 소식까지 전해져 혼란을 더욱 가중시켰다.

학교는 일단 2013년도 입시는 정원축소 및 신설학과 개설 없이 예전대로 신입생을 모집하기로 결정해 더 이상의 혼란은 가라앉혔다. 그러나 학과구조조정 계획 자체가 취소된 것은 아니어서 여전히 해당 학과와 학생들은 반발하고 있다.

정원 축소 대상으로 지목된 역사교육과는 ‘학내 취업률’이란 기준으로 학과정원을 축소한 것은 상식적으로 납득할 수 없는 학교의 횡포라고 성토하고 있다. 경영자들의 평가와 달리 총신 역사교육과는 전국 대학 사회교육과 역사교육과 중 취업률이 3위이고, 최근 임용고사에서 연이어 합격자를 대거 배출하는 등 놀라운 성과를 보여줬다고 항변했다.

유아교육과 역시 사전에 논의도 없이 독단적으로 정원 축소를 결정하고, 유아특수교육과를 개설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을 체계적으로 점검하지도 않고 구조조정을 진행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총학생회는 무엇보다 이번 학과 구조조정이 절차도 논의도 무시된 채 일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학교 측은 공청회를 열어 학과 정원 조정에 대한 정확한 입장과 대책을 학생들에게 알려야 한다”고 밝혔다. 오흥표 총학생회장은 “학과 정원 조정 등을 위해서는 구조조정위원회를 소집해 정원 조정을 논의한 후 심의하고 결정하는 절차가 규정돼 있다. 학교 측은 이런 절차와 논의도 생략한 채 진행했다”고 지적했다.

함께 학교 미래를 풀어가자

총학생회를 비롯해 학생들은 이번 학과 정원축소에 대해 반발하고 있지만, 학교가 대학평가 하위 15%에서 벗어나 명문 기독교대학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데 이견이 없다. 다만 학교 공동체의 한 주체인 학생들과 함께 논의하며 그 방안을 찾기를 바라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학교 구성원 모두가 참여하는 대책위원회를 구성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제안했다.

최근 한국대학교육연구소에서 발표한 ‘학력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 정원 조정 시뮬레이션’ 자료집에 따르면 2018년부터 대학입학 정원이 고등학교 졸업자를 초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대학 입학정원은 55만6193명인데, 2018년 고교 졸업자는 54만6062명뿐이라는 것이다. 고교 졸업생 모두가 대학에 진학한다고 해도 많은 대학이 정원을 채우지 못할 것이고, 총신대 역시 정원미달의 위험에 노출돼 있다. 외부에서 위험상황이 닥칠 때, 공동체에 가장 필요한 것은 내부 화합과 결속이다. 학교 경영자들은 이 점을 빨리 인식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