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단 화해위·교회 전기요금 대책 “눈에 띄네”


▲ 제96회 총회에서 모 총대가 GMS 문제와 관련, 발언하고 있다.
총회가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들이 오르내리고 있는 가운데, 과연 이번 총회에 헌의된 안건들이 제대로 다뤄질지 우려의 시각마저 없지 않다. 기독신문은 주요 이슈로 이미 정리된 안건(본지 1881호 <총회매거진> 참조) 외에 꼼꼼히 따져봐야 할 눈에 띄는 헌의안들을 정리했다.<편집자 주>


총회재산 조사처리위원회 설치
목포서노회는 총회재산특별조사처리위원회 구성을 헌의했다. 서노회는 총회 재산을 원시스템 체제로 관리해야 한다면서 총회총무를 비롯, 총회장, 회계를 당연직으로 하는 등 7인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단 화해위원회 설치
남수원노회 등 5개 노회는 교단내 화해위원회 설치를 통해 사회법정으로 가는 일을 미연에 방지하자고 헌의했다. 노회들은 분명하지 않은 권징조례로 인해 소송이 계속되고 있다고 보고 위원회 설치를 포함해 헌법 개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헌법개정위원회를 가동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목회자납세 연구위원회 설치
서대전노회 등 4개 노회는 목회자 납세에 대한 연구위원회를 설치해 교회나 목회자도 사회의 일원으로서 의무를 실행하고 세상여론의 대상이 되지 말며 정당한 납세를 해야 한다고 헌의했다.

목사정년 연장위원회 설치
평남, 경기노회는 현행 70세인 목사 정년을 상향 재조정해야 한다고 헌의했다. 노회들은 현재 우리나라 평균 수명이 연장되었고 교단 및 정부 기관, 학교 등에서 정년을 폐지했거나 정년 연장을 시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예장합동도 목사 정년을 상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동사목사제도 신설
서울노회는 원만한 목회 계승의 일환으로 미리 후임자를 선정하여 검증 내지는 준비하기 위한 목적으로 동사목사제도를 신설할 것으로 헌의했다. 그러나 동사목사제도는 변형된 목회세습의 방편으로 활용될 우려도 있다는 지적도 있다.

부목사 등의 담임목사 청빙
중서울노회는 제88회, 제93회 총회에서 부목사, 교육, 음악, 협동 목사는 동일교회 담임목사로 청빙이 불가능하다고 결의했으나, 이는 목사의 기본권 박탈, 타교회의 부목사만 기회를 주는 불평등, 시무하는 동안 검증할 수 있는 합리적 방법 무시, 교인들의 선택권 봉쇄 등의 문제가 있어 해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원로목사, 장로 추대 시점
이리, 진주노회는 원로목사, 장로는 공동의회에서 명예직으로 추대하도록 규정이 되어 있는데 추대를 위한 공동의회 시점이 법적 은퇴일 이전인지, 아니면 이후에 해도 되는 것인지 해석해 달라고 헌의했다. 또 시무기간이 20년이 넘은 시점에서 시무 사임된 사람을 원로장로나 목사로 추대할 수 있는지를 물었다.

임시목사 총대 제한
진주노회는 제87회 총회의 ‘임시목사는 노회장과 총회 총대가 될 수 없다’는 결의에 대해 이는 헌법을 무시한 위헌이라면서 철회되어야 한다고 헌의했다. 노회는 정치 제4장 4조, 정치 제10장 3조에 근거해 임시목사도 헌법이 보장하고 있는 노회의 정회원이므로 피선거권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임시목사 헌법 개정 수의
동광주 등 9개 노회는 제95회 총회에서 임시목사 관련 헌법수정안을 결의해 전국 노회의 수의 과정을 마치고 제96회 총회 보고서에 결과까지 다 발표한 바 있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포 실행이 유보되었는데 제95회 총회 헌법 개정 수의안을 즉각적으로 공포, 시행해 달라고 헌의했다.

여성선교사안수연구위원회 조직
남울산노회는 여성선교사 및 여성군목에 대한 안수연구위원회를 조직해야 한다고 헌의했다. 여성의 역할 증대로 여성 선교활동이 활성화되고 여성 군인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다. 이에 따라 교단이 유능한 여성선교사 배출과 효율적인 군 선교를 위해 여성선교사 및 여성군목에 대한 안수연구위원회를 조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력피크제 대책
중부산노회 등 4개 노회는 주일에 이루어지는 전기요금 피크제를 완전 폐지하도록 총회가 대응해야 한다고 헌의했다. 현행법에 따르면 주일에 사용하는 전기요금이 평일과 다르게 정해져있어 주일에 많은 양을 사용하는 교회가 과다한 비용을 치르게 되어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

 

 
자리만 잘 지켜도 ‘성총회’

의결정족수 미달되면 중대한 직무유기


 성숙한 회의문화를 위한 제언 

제97회 총회가 시작됐다. 1500명이 넘는 총대들이 모여 5일간 교단의 크고 작은 일을 결정하는 최고의 회의체가 바로 총회다. 전국의 목사·장로들이 하나님이 세우신 교단과 교회를 이끄는 회의를 한다고 해서 흔히들 거룩한 총회라 하여 ‘성(聖) 총회’라 부른다.
근래 교단 총회의 진행과정으로 보면 거룩하다는 단어가 무색할 정도로 무질서하고, 소란한 모습을 많이 보여 주었다. 오죽하면 소리만 요란한 ‘성(聲) 총회’라는 말을 할까?
진부하지만 이번 총회가 질서가 있고, 성숙된 회의문화를 보여주는 진정한 성(聖)총회가 되기 위해 몇 가지 짚고 넘어갈 부분이 있다.


1. 이탈은 삼가자.

지난 총회를 기억하자. 많은 총대들이 이탈해 의사정족수 미달로 중요한 결의가 무효 소송을 당하는 어처구니없는 사건을 말이다. 이것이야말로 교단을 혼란케한 총대들의 직무유기가 아닐 수 없다. 총대는 노회를 대표하는 것을 넘어 1만 1400여 교회를 대표해서 나온 대표자들이다. 교단의 방향성과 살림살이를 하는 중요한 회의를 가볍게 여기지 말고, 폐회까지 자신의 자리를 지키겠다는 의지가 필요하다.


2. 명확한 결의를 하자.

그동안 불명확한 결의로 인해 불필요한 시간적·재정적·행정적 손실을 보는 경우가 종종 발생했다. 심지어 법정소송으로까지 이어져 교단 명예는 물론 구성원간의 갈등을 더욱 부추기는 상황으로 발전하기도 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선명한 결의가 필요하다. 총회장과 총대들이 안건마다 내용을 충분히 숙지한 후에 결의를 해야 한다. 이것은 회의에 있어 기본 중에 기본이다.


3.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자.

총회 마지막 날에는 시간이 촉박해 안건을 졸속으로 결의하는 모습은 이제 낯설지 않다. 5일간 회무처리에 있어 시간안배를 제대로 못했기 때문이다. 민감한 안건을 뒤로 돌려 총대들이 많이 없는 시간을 이용해 결의하는 정치적인 의도도 이제는 불가능해졌다. 의사정족수가 되지 않으면 결의 자체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매 회의 때마다 중요한 안건을 반드시 처리하겠다는 의지를 가져야 한다. 민감하고 중요할수록 충분한 토론을 거쳐 결정을 한다면 결의에 따른 후유증은 사라질 것이다.


4. 차분하게 회의에 임하자.

안건은 많고, 시간은 촉박하고, 여기에 발언을 할 사람도 많다보니 회의 때마다 쉽사리 혼란해지거나 소란해지는 경우가 많다. 의견이 다른 발언에 아유를 보내는 행위, 발언대가 아닌 자리에서 고성을 지르는 행위, 발언권을 얻기 위해 뛰쳐나오는 행위. 이 모든 것은 총회를 어지럽힐 뿐 회의 진행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행동들이다.
상대방을 존중하는 마음가짐, 차분하게 자신의 의견을 말하는 자세가 성숙된 회의 문화의 필수다.

  


서울노회 12개 헌의안 올렸고 ‘임시목사 문제’ 가장 많았다

 주요 헌의안 통계  

138개 노회 가운데 1개 이상 헌의안을 올린 노회는 58개다. 42%로 절반이 채 못된다. 봄·가을 노회에서 각각 2개 정도 헌의안을 연구할 수 있다고 가정할 때, 4개 이상 헌의한 노회의 숫자는 19개에 불과하다. 이 가운데 수년째 단골 헌의안인 임시목사제도, 대회제, 성경관련 제안, 노회분쟁 등이 다수라고 생각하면 참신하고 새로운 헌의안은 그리 많지 않다.

가장 많은 헌의안을 올린 노회는 12개의 서울노회다. 서울노회는 선거방법, 총신대, 총회실행위, 한국교회연합사업 등 대내외적으로 골고루 관심을 가졌다. 2위는 9개의 목포서노회다. 목포서노회의 헌의안은 상당히 큰 파장을 가져올 수 있는 총회 재산 처리위원회 구성이나 총회 임원회 해산 등 정치성이 강한 내용이 담겨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이어 동광주, 서대전, 수도, 진주노회 등이 8개씩 헌의안을 내, 교단 문제에 큰 관심을 보였다.

그럼 가장 많이 언급된 헌의안은 무엇일까? 임시목사 문제를 포함한 헌법개정건이 25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총신대 문제가 14건, 이어 대회제 13건, 법적용 해석질의 13건, 제도개선 11건, 성경찬송관련 11건 순이었다. 눈에 띄는 것은 연합사업 관련이 9건인데, 한국기독교총연합회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GMS 문제도 9건으로 총대들의 시선을 끌고 있다. 반면 대정부 제안과 이단문제는 각각 7건에 머물렀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