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관적 기여조차 정당한 평가 못받아

교육과학부가 2007년부터 제7차 <개정교육과정>을 통해 추진해 만들든 2011년 역사·사회 교과서에 기독교에 대한 부분이 제대로 평가돼 수록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됐다.
 3월 9일 ‘한국교회역사바로알리기운동본부’(전문위원장: 박명수 교수)의 발표에 의하면, 중·고교 교과서에서 과거보다는 수정된 부분도 있으나, 기독교의 역사적 기여도를 타종교와 비교할 때 여전히 기독교에 대한 서술은 빈약했다.

우선 서울신대 박명수 교수가 분석한 중학교의 역사교과서를 살펴보면<표1>, 기독교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종교개혁”에 관해 교과서 8종(미래교육, 비상교육, 천재교육, 지학사, 두산동아, 교학사(1), 대교, 교학사(2)) 가운데 제대로 서술한 곳은 3종(미래교육, 비상교육, 천재교육)뿐이었고, 나머지는 이를 소홀히 하거나 언급도 하지 않았다.  

더욱 심각한 것은 세계 역사와 문화를 주도한 기독교의 시작에 대한 설명도 미흡하다는 것이다.  불교, 유교, 가톨릭, 천도교 심지어 정감록에 이르기까지 기술했으나 기독교만 제외한 것은 역사교육에 대한 균형감각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두 번째는 안양대 이은선 교수가 분석한 중학교의 사회과 교과서를 보면<표2>, 15종(법문사, 더 텍스트, 삼화출판사, 천재교육(1), 비상교육, 교학사(1), 교학사(2), 천재교육(2), 교학사(3), 지학사, 미래앤컬처, 새롬교육, 천재교육(3), 금성출판사(1), 금성출판사(2))가운데 12종은 비교적 각 종교를 균형 있게 소개하고 있으나 천재교육(3)과 금성출판사 등은 이슬람, 힌두교, 가톨릭은 설명하면서도 기독교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또 사회과 부도의 한국종교 상황 표시에서도 문제점이 발견돼 수정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3>     
세 번째는 서울기독대 백종구 교수가 분석한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문제이다. 교육과학기술부의 검증을 받은 교과서는 총 9종인데, 종교에 대하여 언급한 것이 3종이고, 그 중에서도 이슬람교, 힌두교, 불교, 가톨릭 등은 언급하지만 기독교에 대해서는 침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 한국을 ‘유교문화권’으로 분류하여 기독교의 존재 사실을 드러내지 않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박명수 교수는 “이같은 종교편향적 서술이 아직도 적쟎은 이유는 정부의 교과과정 내용과 집필지침 때문이며 그 바탕에는 ‘배타적 민족주의 사관’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집필지침’을 보면 “국사는 우리 민족의 정신과 생활의 실체를 밝혀 주는 과목으로서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함양시키는 구실을 한다’라고 못 박고 있다. 역사바로알리기운동본부는 향후 교과서에서 근현대에서 기독교가  끼친 영향이 제대로 평가되어야 하고, 서구문화의 발달 부분에서도 기독교의 기여부분이 강화되어 서술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즉 우리 나라가  고려시대에 인도에서 발생한 불교를 국교로 삼았었고, 조선사대에는 중국에서 발원한 유교를 국교로 삼아 영향을 받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근·현대에 이르러 중동에서 시작되고 서양에서 보급된 기독교가 한국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부분도 엄연한 사실로 평가되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운동본부장 이용규 목사는 “근대에 기독교는 이땅에 들어와 의료시설과 학교를 세워 문맹을 퇴치하고 인재를 양성했으며 계몽운동, 독립운동, 사회복지, 독재와 맞선 민주화운동 등 이루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기여했다”고 강조했다. 

운동본부는 향후 현행 교과서 개선 작업에 힘쓰는 한편, 교과서 서술의 지침이 되는 교과과정과 집필지침 수립과정에도 적극 참여해 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