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김영배 목사(전 전도국장)

“최저생활비제도를 효율적으로 시행하려면 총회 내 상설기구가 필요합니다.”
김영배 목사(사진)는 최저생활비를 “총회가 농어촌 미자립 교회 목회자들을 도울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제도”라고 평가했다. 김 목사는 1998년 총회 전도국장으로 재직하면서 <농어촌·미자립 교회 후원 현황 자료집>을 발간할 정도로 이 분야에 관심이 많다.

“단순히 자료를 모은 것이 아니라 농어촌 교회의 후원 실태를 파악하고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길을 모색하려고 제작했습니다. 그러나 총회 정치권의 무관심과 일부 목회자들의 반발로 물거품이 됐습니다.”
당시 전도국은 농어촌 교회들에 공문을 보내 후원현황을 보고해 달라고 주문했지만, 응답은 전무하다시피 했다.

 그래서 차선책으로 도시에 위치한 후원 교회에 연락해 후원현황을 파악해 나갔다.
역순으로 조사를 했지만, 이것도 쉽지만은 않았다. 전체의 30%만 응답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의미 있는 성과가 나왔다. 지원을 받는 농어촌 교회의 편차가 예상보다 심각했다.

“1년에 10만원도 못받는 교회가 있는가 하면, 일부 농어촌 교회 중에는 7000만원을 후원받는 곳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총회 상설기구를 설립하고, 이를 통해 균등한 배분이 이뤄지는 방안을 연구했습니다.”
김영배 목사는 10여년이 지난 현재도 이러한 빈익빈 부익부 상황이 재현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기에 최저생활비 시행에 앞서 농어촌 교회 후원 현황 실태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 농어촌 교회의 어려움과 실태를 제대로 파악해야 대안과 제도를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원활하게 진행하려면 상설기구가 조직되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실태조차 파악되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그리고 제도가 미비한 것이 아니라 관리 감독하는 기구의 힘이 약하다는 것이 더 큰 문제점입니다.”

총회가 최저생활비를 시행하면 실보다는 득이 더 많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안정적인 목회로 지역의 지킴이 역할을 감당할 것입니다. 그리고 3000~4000 교회를 잘 관리하면 교단적으로도 엄청난 힘을 발휘할 것이며, 목회자 수급 문제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총회는 미래를 내다보고 제도를 도입하는 혜안이 필요합니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