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성 지원으론 한계, 정책 지속성이 필요…김영철 목사(김천노회·응명교회)

한국 농업은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빠른 몰락의 과정을 밟아 왔다. 농촌의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인하여 1985년 850만에 이르던 농가인구는 2010년 현재 250만을 채 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농가인구의 감소는 고스란히 농촌교회의 어려움으로 나타나고 있다.

급변하는 농촌교회의 현실 속에서 농촌의 목회자들은 심각한 좌절감과 어떻게 해야 할지를 몰라 고통스러울 때가 많다.
총회는 농어촌부를 통해 본교단의 농촌교회 목회자들을 돕기 위한 노력을 부단히 하고 있다. 최근의 경우 농어촌교회 자활자립세미나, 미자립교회 지원, 농어촌 교역자 수양회 등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으며, 2005년 제90회 총회 농어촌부에서는 ‘인터넷 직거래 장터’를 개설했다. 제94회 총회에서는 ‘목회자 최저생활비 지원’을 5인 위원을 선정하여 시행하기로 가결하였다.

그러나 목회자 최저생활비 지원을 실시하기로 결의하였지만 미자립교회의 정확한 실태조차 파악이 되지 않고, 재정 부족으로 당장 실시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무엇보다도 실태조사는 정직하고, 정확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다른 교단의 경우, 지원 대상 교회를 조사하고 검증하는 데만 수년이 걸렸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들은 근본적 문제의 해결이 아니다. 일시적이고, 위로성의 행사에 그치고 있다. 여러 좋은 정책들이 총회에서 제시되고는 있지만, 상비부인 농어촌부원들이 주관하다보니 과시적인 정책으로만 끝나 버리거나 지속적이지 못할 때가 있다.

오늘날 농촌교회는 도시로의 이동, 고령화, 농산물시장의 개방정책으로 인한 농가 수익 불안정성, 광범위한 토양오염을 비롯한 농업환경의 오염과 생태계 파괴, 1990년대 이후의 새로운 사회적 현상인 다문화 가정의 증대 등등 매우 복잡하고도 다양한 문제점들에 그대로 노출돼 있다.

앞으로 본 교단이 올바른 신학과 신앙에 기초하여 농촌교회가 농민들과 함께 땅을 지키며, 이들에게 하나님 나라에 대한 소망과 희망을 가져다 줄 수 있는 미래지향적인 선교정책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총회가 농촌교회를 위해서 시행할 수 있는 정책은 다양하다. ▲농어촌 지도자 양성 ▲농어촌선교 실무자 네트워크 구축 사업 ▲농어촌목회자자녀의 총신대학교나 총신신학대학원 등에 진학시 학비 지원 ▲도시 자립교회와 농어촌 미자립교회의 자매결연 ▲서울을 비롯해 광역시의 대형교회들과 연계해 농어촌 교역자 자녀를 위한 학사관을 설립 ▲농어촌 사역에 비전을 갖고 있는 목회자후보생 적극 지원 양성 ▲농어업 전문가와 함께 교회 중심의 지역개발 방안 연구 등 실제적인 정책을 제시할 수 있다.

단순한 물질적 지원의 차원을 넘어 농어촌교회들이 교회자립 방안을 마련하고 정착시키는 일을 최우선의 목표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일을 위해 총회 상비부 차원이 아닌 농어촌 복음화를 위한 전문가들로 구성된 전문기구 설립이 시급하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