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 사모가 달라지고 있다] 오래된 사모개념 긍정적 변화 보인다

 ‘사모’라는 말이 어쩌다 목회자의 부인들을 지칭하는 말이 되었을까. 목회자를 ‘영적 스승’ 혹은 ‘영적인 부모’로 여기는 사상이 자연스럽게 동양식의 ‘사부’라는 존칭과 어우러지고, 나아가 그 배우자까지 ‘사모’라 존중하여 부른데서 유래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엄밀히 따져 ‘사모’라는 단어는 목회자와 교우라는 관계에서 파생한 호칭일 뿐 목회자의 아내를 일반적으로 일컫는 명칭이라 하기는 어렵다는 게 정설이다. 그렇지만 ‘사모’라는 말은 해당 교회의 교우 뿐 아니라 그와 무관한 타인들, 심지어 목회자인 남편이나 당사자 스스로까지도 별다른 저항감 없이 사용하는 게 현실이다.

‘사모’라는 말에는 목회자의 아내를 목회자와 동등하게 예우한다는 뜻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현상을 들여다보면 ‘사모’처럼 이름과 실제 사이의 괴리가 큰 경우도 많지 않은 것 같다.

오랫동안 사모들은 심방, 상담, 교육, 봉사 등 여성의 특성과 자신만의 달란트를 활용한 다채로운 사역에 동참하면서도, 목회자인 남편의 내조자 혹은 보조자쯤으로 여겨져 왔다. 성 평등사상이나 여성의 사회진출 확대로 나타나는 우리 사회 전반의 의식 변화에도 불구하고 사모들의 위치나 역할에 대한 교회 내 보수적인 시각은 크게 변모하지 않고 있다.

그 보다는 개척교회나 미자립교회를 중심으로 남편 대신 가계나 교회재정을 책임지기 위해 사모들이 직접 일터에 뛰어드는 현상이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한 농촌교회의 사모가 늦은 밤까지 공장에서 근무를 마치고 돌아오다 교통사고로 숨진 사건은 비슷한 처지의 사모들에게 많은 비애를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보수적인 시각으로 보면 있을 수 없는 일이지만 교회 혹은 교단 차원의 대책이 전무한 상황에서 사실상 묵인 내지는 방조되어 왔다. 사모들에게 책임과 희생만을 요구하고, 그에 부합하는 권한이나 자격을 부여하지 않는다는 것은 일종의 모순이다.

물론 일부 교회에서는 사모들이 목회자를 제치고 교회 전반을 좌지우지하는 월권을 행하거나, 목회자와 동등한 수준의 사례비를 교회에 요구하는 등 상식에 어긋나는 처신으로 가끔씩 구설수에 오르기도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특수한 경우이다.

오히려 선교 훈련 중 숨진 남편을 대신해 선교사로 나서는 어느 사모의 사연, 찬양사역자 교육전문가 사회복지사 등으로 활동하며 교회 안팎에서 새로운 활동 영역을 개척해내는 사모들의 모습이 이들의 잠재력과 가능성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로 주목받아야 할 것이다.

사모들은 목회자의 동역자이며, 또 하나의 사역자로 부각되고 있다. 그것은 목회자나 교회, 그리고 사모 본인 모두에게 유익이다. 이제 지 교회는 물론 교단 차원에서도 사모들이 자기 개발과 건전한 역할 수행에 나설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향으로 관점을 바꿀 필요가 있다.

사모들을 아직도 은밀한 골방 속에 가두어 놓아야 할까. 그들이 사역의 광장 위에 당당히 설 수 있도록 기회를 열어주자.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