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사리 가는 길'은 그다지 멀지 않은 곳에 있다. 굳이 박경리씨 소설 '토
지'의 서희를 들먹거리지 않아도 '평사리' 하면 이제 결코 낯선 이름이 아
니다. 많은 사람이 지명상 지리산 자락 하동에 위치하고 있는 평사리는 잘
알고 있는데 반해 서울 한복판, 그것도 북한산 등정길 입구에 있는 전통찻
집 '평사리 가는 길'은 잘 모른다. 정확히 얘기하자면 '평사리 가는 길'은
구기터널 지나 바로 오른쪽 편에 다소곳이 숨어있다. 북한산으로 올라가는
삼거리 문턱에 푸른 초록 내음을 풀풀 풍기며 존재하고 있다.
그곳에는 쉼이 있어 좋다, 고향의 맛같은 푸근한 정도 있다. 지친 나그네에
게 편안함을 제공하는 안식처랄까, 아무튼 여유를 갖고 한나절 정도 푹 쉬
어갈 수 있는 그런 곳이다. 뿐만아니라 조용한 방도 있어 기도처로서 제격
이다.
'평사리 가는 길'에는 앙징맞도록 귀여운 다기들이 갖가지 모습으로 앉아
있다. 놋쇠, 시루, 다듬이돌, 창호지로 곱게 단장된 문살 등 우리 고유의 옛
스런 멋이 그대로 간직되어 있다. 거기다 이모양 저모양의 난( )들이 소품
으로 평화로운 분위기를 살려주고 있다. 그곳에 들어서면 삼베 적삼같은 분
청사기의 은은함이 풍기기도 하고, 비취색 나는 상감청자의 아름다움이 흘
러나오기도 한다.
그러나 외모에 비친 모양보다 더 아름다운 면은 따로 있다. 가업을 이어
전통 수제 녹차 만들기에 거의 반 평생을 바쳐온 강영진집사(45)가 그곳에
있기 때문이다. '실로암 제다' 대표인 그는 차(茶)에 있어선 일가견을 가진
전문인이다. 차에서 나는 향기만큼이나 생활도 멋과 여유로 가득차 있다.
'평사리'도 그의 작품이다. 그는 '평사리'를 통해 우리의 전통을 알린다는
소중한 뜻도 간직하고 있지만 그보다 더 귀한 것은 누구나 이곳에 들러 경
건의 시간도 갖고, 기도도 하는 기독교인의 쉼터로 이를 내놓고 있다.
강집사는 이슬을 머금고 싱그럽게 자란 연록의 차잎만큼이나 상큼하다. 생
각도 그렇고, 신앙도 그렇다. '평사리 가는 길'은 그래서 아름답다. 그곳에
가면 좋은 또다른 이유는 전통 수제 녹차를 그대로 맛 볼 수 있다는 것이
다. 그것도 하동 평사리 차밭에서 올라온 것을.
하동의 평사리에서 채엽된 수제차는 실로암(實露庵)이라는 상표가 찍혀 백
화점에 직접 납품된다. '보냄을 받아' 귀하게 쓰이고 있다. 화학비료를 전혀
쓰지 않고 유기농법으로 재배되어 여느 차와 비교할 수 없는 맛이 있다. 차
는 원래 직사광선을 쬐면 맛이 별로 좋지 않다. 그래서 이곳에서 나오는 차
는 감나무를 사이사이에 심고 그 아래는 짚을 깔아 놓아 재배된다. 물론 철
저한 전통 방법이다. 차잎을 말릴 때도 한지를 깔고 숯도 가양처리된 백탄
을 사용한다. 아무리 기계화된 세상이라도 이곳에서 나오는 차는 완전 수제
품이다.
강영진집사는 아버지의 가업을 이어받아 40만평이나 되는 차밭을 직접 가
꾸며 '녹색지대'의 아름다움을 창조해 나가고 있다. 그는 하동의 차밭으로,
예지원의 다도 강습회로, 백화점 매장으로, '평사리 가는 길' 찻집으로 하루
도 쉴 틈없이 분주하게 움직인다. 거기다 경남 진영의 도예원에서 직접 다
기를 굽기도 한다.
"저는 차를 통해 많은 것을 배웁니다. 직접 차밭의 차잎을 따며 일의 소중
함을 느끼기도 하고, 땅에 대한 애착도 간직하게 됐습니다. 토지의 서희도
끝내 땅으로 돌아가지 않았습니까, 우리의 길도 종착점은 땅입니다. 영적인
면도 새롭게 깨닫죠. 또 한 예를 들어볼까요. 차와 다기는 연인 관계입니다.
어느 하나가 없으면 제대로 기능을 발휘치 못합니다, 자신의 빛을 발할 수
없는 거죠. 합력하여 선을 이룬다는 하나님 말씀을 이렇게 배웁니다."
강집사의 차 사랑은 실로 가늠하기가 쉽지 않다. 각별한 애정도 그렇거니
와 거기서 하나님의 섭리를 느끼며 배우는 정성도 무엇보다 귀하다.
'평사리 가는 길'은 그렇게 아름답다. 강집사가 있고, 그의 손길이 고스란
히 배여있는 평사리 차밭의 고운 정성이 숨쉬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보다 더 소중한 것은 기독교인의 쉼터로서 그곳이 이용되고 있다
는 것이다. 차 한잔의 향기를 맡으며 묵상도 하고 기도도 할 수 있는 그런
'안식처'이기에 그지없이 좋다. 회색도시 빌딩 숲 사이에 '평사리 가는 길'
은 그렇게 서 있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