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초 '건빵도시락' 파문을 일으켰던 K종합사회복지관은 개신교 모 교단의 사회복지법인이 설립한 기관이다. 저소득층 어린이들에게 부실 도시락을 제공한 이 복지관은 열악한 재정을 이유로 들었으나 결국 주먹구구식 운영, 사회복지실천 의지가 결의된 무성의한 사업수행, 관리 책임이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감독 소홀이 원인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그런가하면 서울의 한 교회가 설립한 사회복지법인은 최근 복지관장을 일방적으로 해고해 물의를 빚었다. 재단은 측근 인사를 운영 책임자로 임명하기 위해 관장을 해고했다. 새로 영입된 운영 책임자는 사회복지 종사 이력이 전무한 이로, 사회복지사들과 갈등을 빚다가 복지관 운영을 파행으로 몰고갔다. 과거 이 복지관은 체계적인 발달장애인 교육 프로그램으로 독보적인 평판을 누렸으나 지금은 '기독교 복지관이 이럴 수 있냐'는 이용자들의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됐다.
한편 몇 해 전 국고지원을 받아 운영되던 J시 기독교 사회복지법인 노인전문요양원은 병원장이 공금을 횡령하는 등 운영진의 전횡이 불거져 결국 일반복지법인에 매각됐다. 당시 이 병원은 기독교 사회복지법인은 사적소유 인식이 강하고 폐쇄적이며, 투명한 운영이 어렵다는 '통념'을 환기시켜 주위를 안타깝게 하기도 했다.
개 교회 사례지만, Y시 모 교회는 노숙자 무료급식사업을 전개하면서 소정의 현금을 함께 제공하는데, 이 때 예배를 드리면 현금을 더 많이 주는 형식으로 노숙자들을 끌어모으고 있다. 그러나 노숙자들은 교회에서 받은 돈으로 내기를 하기도 하고 주민들도 이를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는 등 갈등이 일고 있다. 그러나 이 교회는 아직까지 같은 방법의 사역을 고수하고 있다.
이 같은 기독교 사회복지사업의 폐해가 발생되는 까닭은 간단히 말해, 사회복지사업의 기본 운영원칙이 통하지 않아서다. 많은 교회와 기독교 기관들이 별도의 복지재단을 설립해 사회복지사업을 전개하거나 기독교 법인의 이름으로 사회복지관을 직접 설립, 운영하고 있으며, 총회나 지방자치단체의 위탁을 받아 사회복지관을 운영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기독교 기관이 운영하는 사회복지기관도 보건복지부가 규정한 공적 사회복지사업기관으로, 전문성과 책임성, 자율성, 중립성 등의 기본 운영원칙을 지켜야 한다. 그러나 기독교 사회복지사업의 경우, 기독교 교리를 우위에 두어 일반 사회복지사업과 차별화하려 하며 기본 원칙을 무시하는 사례가 왕왕 생기고 있다.
기독교 사회복지사업을 선교 목적으로 활용하려는 것은 온당하지만, 사회복지사업이 기독교 기관의 특정 목적을 위해서만 전용되는 것은 부적절하다. 이는 오히려 하나님의 사랑을 실천하고 지역사회를 섬기는 기독교 사회사업의 순수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사회복지사업의 운영원칙을 존중하며 기독교 교리와 조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김배경 기자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