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9년 센서스 집계 이후 처음, 뚜렷한 대책 없어
교회ㆍ교단ㆍ기관 등 교계 비롯 각계 협력 절실

이제는 더 이상 전망이 아니라 현실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인구수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사상 최초로 감소했다. 그동안 인구 절벽이 심화될 것이라는 경고와 우려는 있었지만 그럼에도 사회에 주는 충격은 크다. 정부뿐 아니라 교계를 비롯한 각계의 대응책 마련이 요구된다.

통계청이 7월 28일 발표한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 인구부문 집계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국내 총인구수는 5173만8000명으로, 전년 대비 9만1000명가량 줄었다. 인구감소는 1949년 센서스 집계 이후 처음이다. 물론 이미 2020년부터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초과하는 인구 자연 감소가 시작된 만큼 이미 예견된 일이었다. 당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해외에 있던 재외국민들이 대거 귀국하면서 잠시 유예됐을 뿐이다.

총 인구수뿐만 아니라 일할 수 있는 연령대인 생산연령인구수도 지난해보다 34만4000명 감소한 3694만4000명으로 조사됐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수는 1년 전과 비교해 41만9000명이 증가한 870만7000명을 기록하면서 부양부담은 갈수록 늘고 있다.

이 같은 추세는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이다. 통계청은 2030년까지 연평균 6만명 내외로 인구수가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외국인 순유입 정도에 따라 일시적인 반등이 있을 수는 있지만 오랜 기간 이어져오고 있는 저출산 현상을 타개하지 못하는 이상 장기적인 인구 감소 추세를 막기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이미 장기화된 저출산 문제의 영향은 이미 사회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입학생이 없어 폐교되는 초등학교와 신입생 미달로 생존을 위협받는 대학들, 인구 감소로 소멸 위기에 빠진 지방도시들까지. 정부가 대책 마련을 위해 지난 15년간 약 380조 원의 예산의 투입했지만 인구 감소로 나타났듯 상황은 나아지지 않고 있으며 여전히 뾰족한 수를 찾지 못하고 있다.

인구 감소로부터 교회 역시 자유롭지 못하다. 인구수가 줄면 교회의 구성원인 성도의 수도, 또 선교의 대상도 줄어드는 것인 만큼 위기와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교회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이 요구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상황이 여기까지 오자 한국교회는 저출산 문제 극복의 전면에 나섰다. 대한예수교장로회(이하 예장) 합동(총회장:배광식 목사)을 비롯한 한국교회 주요 15개 교단은 지난해 11월 ‘출산돌봄 국민운동 한국교회 발대식'을 갖고, 국가가 당면한 인구문제를 극복하고 교회의 다음세대를 이어나가기 위한 상호 협력을 약속했다. 또한 CBS기독교방송(사장:김진오)는 6월 한국아동단체협의회, 초록우산어린이재단 등과 저출생 극복과 함께 돌보는 사회 조성을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사회적 위기 극복을 위해 교계와 정부, 지자체 등과 협력을 넓혀가고 있으며, 지난해 7월 다음세대운동본부를 출범시킨 CTS기독교TV(사장:최현탁)도 저출생 문제에 대한 사회적 대처의 일환으로 전국 교회와 함께 주중 유휴공간 및 인적자원 등을 활용, 보육 및 돌봄과 관련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활동을 펼쳐가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교단들도 잇따라 대책을 내놓고 있다. 예장합동 총회는 지난달 미래정책전략개발위원회를 중심으로 미래 대응을 위한 분야별 로드맵을 발표했다. 저출산 초고령 사회 변화에 따른 교회학교의 축소 등 교세 감소, 신학교 지원자 감소에 따른 교역자 수급 문제 등 교단 내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 마련은 물론 △창조명령 기반 가족친화 문화 주도 △출산 및 양육 환경 지원 △가족가치 실현 위한 캠페인 주최 △생명존중 및 낙태반대 운동 주도 등 사회적 책임도 강조됐다. 예장통합(총회장:류영모 목사)도 이번 제106회기 특별위원회로 출산돌봄위원회를 신설하고 저출산 문제 극복과 다음세대를 살리는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이처럼 눈앞에 떨어진 국가적 재앙 앞에 모두가 발 벗고 나선 모습이다. 통계와 전망을 반전하기 위해서는 반짝 관심에 그치지 않는 꾸준한 극복이 노력이 요구된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