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신 최초 임시이사 파송은 ‘위기이자 기회’ … 투명한 총장 선출부터 새 도약 기반 마련

지난 3월 19일 오전 8시 총신대학교 사당캠퍼스 종합관 제2회의실, 임시이사들의 마지막 이사회가 개최됐다. 감사 선임과 신규전임교원 특별채용을 주요 안건으로 다룬 이날 이사회를 끝으로, 총신대는 30개월간 이어진 임시이사 체제를 마무리하고 정이사 체제 전환을 앞두고 있다.

시간을 거슬러 올라 2017년 10월로 가보자. 당시 직전 재단이사회의 정관 변경을 반대하며 학생들의 시위가 시작됐다. 여기에 기름을 부은 김영우 총장 재선임과 학내 용역 동원, 그 결과로 나온 김영우 총장 파면과 재단이사 취임 승인 취소까지. 이 모든 일이 불과 7개월 사이에 일어났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혼란에 빠진 총신대를 정상화할 목적으로 2018년 9월 19일, 임시이사 15명을 선임했다. 총신대 설립 이래 최초의 임시이사 파송은 교단의 치욕으로 여겨졌지만, 한편으로는 총회 정치집단의 전장으로 변질된 선지동산을 새롭게 회복할 기회이기도 했다.

총신대가 임시이사 체제를 종식한 시점에서 임시이사 파송의 원인, 임시이사 재임기간 중 의미 있는 성과, 정이사 체제 전환 과정 등을 되짚어 보자.

임시이사 선임 불러온 김영우 총장 재선임과 용역 동원
제102회 총회를 불과 3일 앞둔 2018년 9월 15일, 총신재단이사회는 총신대 정관에서 교단성을 지우는 만행을 저지른다. 이 소식이 알려지자 총신대 학생들은 들불처럼 일어나 “김영우 총장 사퇴, 정관 원상복귀”를 외치며, 10월 25일부터 ‘총신 운영 정상화를 위한 집회’를 이어갔다.

그러나 총신재단이사회는 학생들의 시선을 아랑곳하지 않고 학내 시위의 원인이 된 김영우 총장을 재선임하며 사태를 악화시켰다. 그러자 학생들을 전산실을 점거하며 농성에 돌입했다. 그리고 2018년 3월 17일 사당캠퍼스에 용역이 투입되는 초유의 사건이 발생하고야 말았다.

결국 교육부는 총신대 실태 조사를 실시했고, 4월 8일 김영우 총장 파면과 재단이사 취임 승인 취소라는 중징계를 내렸다. 이어 교육부와 사학분쟁조정위원회는 재단이사 전원이 물어나면서 분규사학이 된 총신대에 임시이사를 파송한다.

2018년 9월 19일, 총신대에 김동욱 교수(서울대 행정대학원), 조경호 교수(국민대 행정정책학부), 김진영 교수(건국대 경제학과), 김영철 교수(서강대 경제학부), 김용련 교수(한국외대 사범대), 임철일 교수(서울대 교육학과), 김미량 교수(성균관대 컴퓨터교육과), 강윤주 교수(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김영희 변호사(김영희법률사무소), 김영준 변호사(법무법인 일현), 김기천 변호사(법무법인 아산), 이승현 회계사(한길회계법인), 차병길 이사(안세회계법인), 이보형 사무국장(서울과학기술대), 전찬환 사무국장(한국대학교육협의회) 등 15명의 임시이사 체제가 출범했다.

공정·투명한 총장 선출 큰 성과
초대 임시이사장에는 김동욱 교수가 선임됐다. 그러나 김 교수는 2019년 1월 24일 일신상에 이유로 사임했다. 이어 이승현 회계사가 이사장 직무대행을 맡다가 2019년 7월 15일 정용덕 교수(서울대)가 이사장에 선임됐으나 정 교수마저 사임했다. 임시이사회는 2020년 3월부터 임기 만료인 2021년 3월 22일까지 이승현 이사장 직무대행 체제를 유지했다.

임시이사의 주요 업무는 총신대를 정상화로 이끄는 것, 다시 말해 자신들의 선임 사유를 해소하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임시이사들은 학내 사태와 관련된 교직원 징계 등 23가지 임시이사 선임 사유를 해결하는데 힘을 쏟았다.

임시이사 재임 기간 중 눈에 띄는 성과는 공정·투명한 총장 선출이다. 과거 총신대 총장 선출 때마다 정치세력의 개입으로 잡음이 나왔던 것에 반해, 이재서 총장 선출은 공정하고 투명했다는 평가가 잇따른다. 임시이사회가 학생부터 목회자까지 총회와 총신의 각계각층으로 이뤄진 총장후보추천위원회를 구성한 게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하는 데 주효했다. 이어 임시이사회가 총장 후보 2인 중 이재서 교수를 총장으로 선출하며 잡음 없이 매듭지었다.

반면 임시이사회가 강의 중 성희롱 발언을 했다는 이유로 이상원 교수를 해임한 사안과 관련해 교단 내 논란이 불거졌다. 이에 이상원 교수는 가처분 소송을 제기해 승소했으나 교육부 교원소청심사위원회에서는 이 교수의 해임이 유지됐다. 현재 이상원 교수는 소청심사 결과에 불복해 행정소송을 진행 중에 있다.

2년 6개월 만에 정이사 체제 전환
사학분쟁조정위원회가 분규사학의 파송하는 임시이사의 임기는 2년이다. 하지만 2년 만에 분규사학이 정상화되는 경우가 많지 않아 대개 임시이사의 임기가 연장되곤 한다. 다행히 총신대는 2년 만에 정상화 절차에 들어갔고, 여기에는 임시이사들의 판단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지난해 8월 교육부가 임시이사회에 ‘임시이사 선임사유 해소 여부’를 물었는데, 임시이사회는 “임시이사 선임 사유가 모두 해소됐다”고 답변했다. 총신대 총학생회와 총신신대원 원우회의 반대로 6개월 정도 지체되긴 했지만, 총신대는 올해 초 정이사 체제 전환을 돌입했고, 곧 재단이사의 취임을 앞두고 있다.

이승현 이사장 직무대행은 “한 달에 한 번씩 이사회를 갖는 등 임시이사 선임 사유 23가지를 해결하는 데 노력했다”면서, “총신대가 구습을 떨쳐버리고 발전하길 기대한다”고 퇴임소감을 말했다.

이재서 총장은 30개월간의 임시이사 체제를 총신대가 도약하기 위한 과정이었다고 평가했다. 이재서 총장은 “교단과 학교 입장에서 임시이사 파송은 외부인의 지배를 받는 것으로 자존심이 매우 상할 일이었다. 하지만 결국 우리의 책임이었고, 현실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면서, “다행히도 임시이사 체제 동안 학교가 안정돼 갔고, 총신이 도약하기 위한 하나의 과정이었다고 생각한다. 곧 정이사 체제 전환을 앞두고 있는데, 새롭게 오실 정이사님들이 학교 발전에 더욱 힘을 보탤 것으로 큰 기대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