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교계의 모임과 행사가 크게 줄어든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이다. 두 번 모일 것을 한 번 모이고 한번 모일 예정이었다면 모임을 한 번씩 건너 뛰고 있다.
지금 시대에 모든 교회들이 어렵지만 특히 미자립교회들은 더 어렵다. 마찬가지로 교계 단체들이 힘들지만 그 가운데 청소년사역을 하는 단체들은 더더욱 힘든 시절을 지내고 있다. 그나마 여름과 겨울 캠프가 주된 사역이었는데 진행할 수 없으니 올해 단체의 운영에 먹구름이 끼었다. 이는 다음세대 전도와 교육이 약해지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터이니 걱정이다.
연초에 한 선교단체가 교사교육 콘퍼런스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고 해서 반가왔다. 강사들이 젊은 목회자들이어서 기뻤고, 전문성과 열정을 가지고 강의를 해서 희망이 보였다. 
강사들은 다음세대 사역이 매우 어려워진 현실을 진단했다. 과거에는 교회에 나오는 아이들을 어떻게 교육할까를 고민했는데 지금은 아이들을 만나는 것조차 힘들 정도로 아이들이 숨어 버렸다고 말했다. 믿는 아이들일지라도 부모가 신앙이 없을 경우, 집에서 온라인 예배를 드리는 것조차 버겁다고 알렸다. 학생들이 학교에 가면 기독교에 대한 적대감 때문에 교회를 다닌다는 말을 하지 못할 정도로 위축감을 느낀다고 한다.
강사들은 교사들에게 ‘선교사의 심정’을 가지라고 도전했다. 선교사는 다른 문화권에 가서 현지인들의 언어와 세계관을 익히고 그들에게 다가가서 복음을 전하는 일을 한다. 그 일을 위해 피선교지 사람들이 복음에 마음의 문을 열도록 필요를 채워준다. 코로나19 시대에 교사들도 언어와 문화가 다른 다음세대를 이해하고 그들에게 다가가기 위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이기들을 활용해야 한다. 다음세대의 마음의 문을 열 수 있는 영향력이 있어야 한다. 실로 선교사에 다름이 아니다.
교사들만 그럴까. 지금은 우리 모두가 선교사의 심정으로 각자의 자리에 서 있어야 한다. 온라인(On-line)도 오프라인(Off-line)도 복음을 위해서 능숙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전할 수 있는 올라인(All-line)의 선교사로 살아야 한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