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신대 정상화에 서광이 비치고 있다. 1년 6개월 동안 진행된 임시이사 체제가 곧 종식되고 재단이사회가 구성될 시점도 머지않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모처럼 호기를 맞은 총신대 정상화 책임은 일단 정이사 추천 권한을 쥔 총회관계자와 총신대 그리고 전 재단이사에게 있다. 이들의 셈법에 따라 총신의 정상화가 빨라질 수도 있고, 늦어질 수도 있다는 말이다. 만일 예전처럼 ‘자기 몫’을 주장하며 재단이사 선임을 놓고 옥신각신 한다면 총신은 또다른 회오리에 휩싸일 수도 있다. 그만큼 총신대의 향방은 알 수가 없다.

거기다 제104회 총회에서 결의한 총신운영이사회 폐지의 복원 여부도 논란거리다. 지난 총회에서 총신대 운영이사회는 총 투표수 1048표 중 찬성 670표, 반대 364표, 기권 14표로 폐지키로 결의했다. 이와 관련하여 총회규칙도 개정하고, 한시적으로 청산절차를 밟으라는 의미로서 운영이사 임원의 임기를 8월말까지 유지키로 한 바 있다. 그런데 또다시 운영이사회 복원이 이번 제105회기 가장 뜨거운 헌의안으로 상정되어 있다.

‘총회 정치1번지’로 불렸던 총신운영이사회는 솔직히 긍정적인 요소보다 부정적인 측면이 더 높았다. 운영이사회 복원을 주장하는 이들은 노회에서 파송한 대표가 학교 운영에 관여해야 진정으로 직영신학교가 된다는 입장을 펼치고 있다.

총신대 내부를 들여다봐도 갈 길이 멀다. 교수들과 학생들의 반목도 아직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교수들간의 보이지 않는 갈등도 첨예하다.

이렇듯 총신대 정상화로 가는 길목은 가시밭길이다. 임시이사 체제가 곧 끝나는 것은 기정사실이지만 자칫하다간 말짱 도루묵이 될 수도 있다는 얘기다. 다시 말해 정상화가 가시권에 들어와 있지만 아직 안심할 단계는 이르다는 뜻이다.

총신대가 속히 정상화 되도록 서로가 내려놓기를 바란다. 재단이사 선임을 놓고 또다시 아귀다툼을 벌이는 몰상식한 추태가 제발 일어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