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회기획] 정책이 이끄는 총회로 가는 길 ④정책 총회 대안있다

정책총회는 어려운 듯싶지만 의외로 쉬운 길이다. 교단 구성원 대다수가 기대하는 정책총회를 실현시키겠다는 의지, 정책을 연구·개발하는 정책연구기관 설립, 개발한 정책을 상비부 등 총회 기구들이 실행하는 구조로 바꾸면 된다.

여기에는 전제 조건이 있다. 정책연구기관을 총회의 관리감독을 받게 하되 독립기구로 인정하는 일, 정책연구기관에 교단의 인적 자원을 활용하는 인재등용의 문을 열어두는 일, 정책연구기관이 정착할 때까지 전폭적인 지원이 선행돼야 한다.

정책총회가 정치 무용론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정책이 열매를 맺으려면 교단을 둘러싼 환경과 이해당사자들을 중재하고 설득하는 정치는 필수요소다. 정책이 작동하면 정쟁과 소모의 정치가 아니라 생산적인 정치를 할 수 있다는 말이다.

정책연구 전문기관 설립하자

정책이 있는 총회가 되기 위해서는 두말할 나위 없이 정책을 연구하는 전문기관 설립이 필수다. 지금처럼 분절된 교단의 각종 사업이나 행사, 1년 단위 총회장 공약, 노회가 상정하는 총회헌의로 정책총회를 기대하는 것은 정책총회를 하지 말자는 의미와 동일하다. 그간 정책총회를 외치고 일정 부분 정책 관련 기구를 가동했지만 성과를 거두기도 전에 좌초시키기를 반복했던 현실을 보면 그렇다는 말이다.

정책연구전문기관이 없이는 지속가능한 정책총회를 기대할 수 없다는 지극히 상식선에서 정책총회 실현 의지를 출발시켜야 한다. 교단이 운영하는 정책연구전문기관은 총회의 지도와 관리·감독을 받되, 운영과 활동만큼은 독립성을 보장해야 한다. 그러므로 총회가 부여하는 과제에 한정해서만 연구하게 하는 소극적 자세를 뛰어넘어야 한다. 중장기 정책 연구와 더불어 현안에 대해 교단이 추구하는 신학과 가치를 담은 정책을 순발력있게 제공하는 연구기관이 되어야 한다는 밑그림으로 정책연구 기관을 출범시켜야 한다.

정책연구기관은 총회총대로 구성한 운영위원회가 행정과 재정을 관장하면서 총회와 정책연구기관의 가교역할을 맡고, 전문가들로 구성된 연구위원들은 연구에만 집중하는 구조로 운영하면 무리가 없다.

정책총회 뒷받침할 인프라 구축하자

①인재데이터베이스 구축

‘맨파워 정책’이라는 말이 있다. 특정한 목적 달성을 위해 조직이 갖고 있는 인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확보하고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맨파워 정책을 가동하려면 선행적으로 어떠한 인적 자원을 갖고 있는지 조사하고 정리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인재데이터베이스화다.

교단의 규모가 크다는 것은 인적 자원이 풍부하다는 의미다. 그런데 정작 교단은 우수한 인재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그저 총회총대라는 극소수의 인적 자원에 한정해 생산적인 일을 기대하고 있는 형국이다.

인재데이터베이스 구축은 정책연구기관 가동에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교단은 그동안 두어 차례 인재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시도했지만 무산시켰다. 교단 운영에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인재를 발굴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수집이 필수임을 명심해야 한다. 그리고 교단의 우수한 평신도 인재를 활동할 대문도 활짝 열어놓아야 한다.

②전문분야별 인재풀 구축

인재데이터베이스로 확보한 인재들을 전문분야별로 분류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정책연구에 있어 법적·재정적 전문가가 필요하다면, 법률가와 재정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인재풀에서 필요 인력을 선정해 정책연구에 투입시키면 된다. 인재풀에 의한 정책연구는 전문성은 물론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정책총회, 긴호흡 필요하다

정책은 성격에 따라 단기간에 효과를 내는 것도 있고, 장기 운영을 통해 열매를 맺는 것이 있다. 따라서 정책연구가 지속가능하도록 교단적 지지와 신뢰가 필요하다. 특히 정책 보다는 정치에 치중돼 있는 교단 형편에서는 더더욱 필요한 요소다.
정책연구기관이 지속할 수 있는 방안은 총회와 정책연구기관이 정책을 의뢰 및 제공하는 등 긴밀한 상호작용이 작동하고, 이와 더불어 정책연구기관이 개발한 정책들이 상비부나 산하 기관 등 총회 각 분야에 적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표2>의 ‘정책협의체’처럼 ‘총회-상비부·특별위원회·기관·속회-정책연구기관’이 상호작용을 하는 구조로 교단 운영을 점진적으로 바꿔간다면, 정책이 이끄는 총회가 비로소 가능해진다. <끝>
 

제언/ 정책총회가 필요한 이유
정책은 ‘폼’ 아닌 ‘교단 생존’ 문제

김대훈 목사( 초량교회)
김대훈 목사( 초량교회)

아마존 밀림 속 원시 부족에겐 정책이 없어도 되지만, 세계적인 쇼핑몰 기업인 ‘Amazon’에는 확실한 정책이 있어야 한다. 교단은 교회들의 연합체이자, 산하 교회들을 보호하고 인도해야할 책임기구이다. 총회가 조직인 이상 정책이 필요하다. 그것도 선명하고 확실한 정책이 필요하다. 조직의 가치와 신념을 담은 명확한 원칙없이 어찌 계획을 세우며 지시를 내릴 수 있겠는가?

책사(策士)들을 찾아라
우매하고 잘못된 정책만큼 위험하고 소모적인 게 없다. 총회는 전국교회의 내비게이션이다. 선명하고 확고한 정책으로 길을 잃지 않도록 해야 하며, 우매하고 잘못된 정책 때문에 벼랑 끝으로 몰지 말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책사’들을 찾아내야 한다. 유능한 정책과 전략을 세우는 책사를 가진 제후가 결국 승리하며 패권을 차지하게 된다. 기계적인 안배가 아닌, 총대 횟수가 아닌, 주님을 두려워하며 교회를 참으로 사랑하는 성령의 지혜를 가진 책사들을 찾아서 망설임 없이 등용해야 한다.

정책, 폼이 아닌 목숨 걸린 일이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폼’에 약하여 ‘폼’을 잡고 싶어 한다. ‘정책’이라는 단어가 폼을 잡는 데는 딱이다. “정책이 있어야 한다. 이번에는 이런 정책을 세웠다”고 힘주어 말하면 괜히 폼난다. 하지만 ‘교단의 정책’을 ‘폼나는 말’로 다뤄서는 안 된다. 지금 우리 교회들은 폼 잡을 시간도, 여유도 없다. 생존의 문제 앞에 서 있다. 총회와 지도자들이 한 번 던져보는 폼나는 ‘정책’이 아니라 교회들과 성도들의 영적생존이라는 목숨 걸린 일로 여겨야 한다.

정책총회 실현, 기꺼이 결행할 의지 가져야
교단 역사에서 ‘정책’이라는 말들이 꽤 많이 나왔고, 정책 관련 조직들이 존재했었다. 그러나 불꽃 한 번 제대로 일으키지 못하고 사라진 것이 많다. 큰 요인은 총회에서 말하는 정책 대부분이 위원회의 모임과 의제를 위한 정책으로 머물고 만다는 것이다. 누군가의 업적과 실적을 남기고 사라지고 만다. 뒤집어보면 총회가 정책을 실행하겠다는 의지가 없었다는 것을 방증한 셈이다.
총회는 이제 제대로 된 정책을 연구개발하고, 기꺼이 결행할 의지를 가져야 한다. 심장의 뜨거운 피가 모세혈관까지 돌 때 건강한 몸이 되듯이, 정책이라는 피가 총회의 가장 먼 모세혈관인 교회에까지 돌게 해야 한다. 그게 개인이든, 조직이든, 기구든 말이다. 정책은 의지를 가지고 결행할 때에만 내일의 문을 여는 열쇠가 될 수 있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