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훈 목사(한주교회)

김태훈 목사(한주교회)
김태훈 목사(한주교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세가 누그러들지 않고 있다. 코로나19가 속히 종식되고 예전의 일상으로 돌아가기만을 숨죽여 기다려 왔던 교회들도 이제는 교회에게 찾아온 위기의 심각성을 직감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우리에게 찾아온 이 새로운 시대의 변화를 인식하고 서서히 대응방안을 모색해 나가기 시작했다.

실제로 교계에 새로운 복음 소통방식의 다양한 시도들이 여러 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그동안 우리는 대면을 통해서만 복음을 전할 수 있다는 전통적인 소통방식을 고수해 왔다. 그러나 비대면의 상황이 지속되면서 급하게 시작했던 예배의 온라인 중계를 넘어 새로운 소통방식을 적용하는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다. 줌(ZOOM)을 통해 소그룹 성경공부와 각종 회의를 진행하고, 유튜브(YouTube)를 활용해 성도들에게 양육 콘텐츠를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카카오톡 영상통화를 통해 개인별 맞춤 심방을 진행하는 등 다양한 사례들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다. 또한 세미나나 청소년 집회 등의 대형 집회도 웨비나(Web + Seminar)의 형태로 진행되고 있으며 심지어 미국장로교(PCUSA)는 총회를 대면하여 모인 것이 아닌 온라인으로 개최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시도들을 통해 우리는 한 가지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바로 비대면의 방식이 우리가 우려하던 대로 소통의 단절을 가져다 준 것이 아니라 오히려 소통의 초연결을 가능케 했다는 사실이다. 솔직히 이러한 시도들은 코로나19로 인한 불가피한 선택이었으며 대면할 수 없기에 시도한 차선책에 불과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들의 피드백은 우리의 예상을 뛰어넘었다. 비대면이 비효율적이라는 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생각보다 소통의 질이 떨어지지 않았고,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더 넓은 소통이 가능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아가 스마트폰의 높은 보급률과 유튜브 등 기존에 이미 구축된 SNS 환경을 통해 이제는 누구나 비용의 문제에 얽매이지 않고 전 세계 누구와도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사실 이러한 변화는 이미 오래전부터 예견된 것이었다. 단지 코로나19로 인한 더욱 가속되어 우리에게 급속히 다가온 것뿐이다. 그동안 세상은 이 시대를 예측하고 준비해왔다. 전 세계의 나라와 기업들은 이러한 변화에 맞춰 자신들이 유지해오던 플랫폼을 해체하고 초연결·비대면 플랫폼으로의 변화를 시도하여 왔다. 그래서 준비된 몇몇 기업들은 갑자기 찾아온 이 비대면 시대를 오히려 성장의 기회로 맞이하고 있다. 이제 우리 교회와 교단을 바라본다. 우리는 어떤 준비를 해 왔고 또 이 시대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혹시 지금이 오히려 복음을 땅 끝까지 증거 할 절호의 기회가 온 것은 아닌지. 아직 늦지 않았다. 초연결·비대면의 시대는 많은 인력과 비용이 필요한 것이 아닌 바로 우리의 인식의 전환으로 그 준비가 충분히 가능하기 때문이다.

우리와 같은 고민을 했던 사람을 소개한다. 바로 바울이다. 바울은 소아시아 지역을 다니며 성도와 대면하여 복음을 전하고 교회를 세워갔다. 그러나 의도하지 않게 옥에 갇혀 격리되었다. 성도들도, 바울도 속히 대면하기를 바랐지만 바울은 아쉬워하고 기다리고만 있지 않았다. 오히려 비대면이지만 필사본에 복음을 기록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것을 소아시아 지역에 회람시켰다. 대면에 대한 아쉬움은 남아 있었지만 필사본에 담긴 이 복음이 바로 초대교회의 부흥의 놀라운 원동력이 되었다. 이제 어쩔 수 없이 초연결·비대면 시대를 맞이한 우리 교회. 다시 사명을 생각해 보자.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