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창식 목사(달서교회)

박창식 목사(달서교회)
박창식 목사(달서교회)

코로나19가 대구를 덮친 주일 아침, 성경을 들고 교회로 향하는 목사를 바라보던 사람들의 눈빛을 지금도 잊을 수 없다. 대구가 제2의 우한이 되어버린 상황에서 어떻게 목회 리더십을 발휘해야 할지 혼란스러웠다. 이번 사태를 겪으면서 다음 세 가지를 생각해 보았다.

첫째는 정통과 이단의 문제이다. 이번 사태를 통해 한국교회는 최대의 이단인 신천지 집단이 폭로되는 반사 이익을 가졌다. 하지만 신천지가 교회로 소개되어 정통교회들과 구분이 모호해지면서 또 다른 위기에 봉착하기도 했다. 정통과 이단의 차이는 고사하고 유사한 집회 방식으로 인해 정통교회 역시 슈퍼 전파지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 앞에 국가적으로 긴장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한국교회는 이 난국에서 공공신학을 실천함으로 성숙하게 잘 대처했다고 평가하고 싶다. 이러한 새로운 경험은 앞으로 한국교회의 중요한 자산이 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교회의 자기 갱신과 더불어 이단에서 돌아오는 사람들을 계도할 준비를 갖추어야 한다. 또한 그동안 소아적 신앙생활에 익숙했다면 이제는 타자를 위한 생활신앙의 정립으로 한국사회 속에서 진정한 정통교회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둘째는 회복과 창조의 문제이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한국교회 최대의 과제는 예배의 회복이다. 진정한 예배의 회복이란 무엇인가? 단지 이전 체제로의 회귀인가? 컨택트적 상황에서 경쟁력을 발휘했던 한국교회가 이제 언택트 상황에서의 진정한 예배 회복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우선 그동안의 예배 모임에 대한 반성이 있어야 할 것이다. 단지 종교로서의 기독교의 모임은 참 모임이 아니라 유사 모임이 되기 쉽다. 수많은 개인이 개별적인 종교적 욕구로 한 장소에 모였다가 각자 알아서 은혜를 받고 개인으로 흩어진다면 겉만 모임이지 참된 모임은 아닐 것이다. 이제 우리에게 닥친 위기를 기회로 삼아서 우리가 회복하고 또 돌아가야 할 진정한 예배를 살려내야 할 것이다. 초대교회 신앙의 선진들이 카타콤에서 숨죽이며 ‘마라나타’를 외치며 영과 진리로 예배했던 그런 은혜를 회복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단순한 회귀가 아닌 새로운 창조적인 발상이 요구된다.

셋째는 교회와 국가의 문제이다. 코로나19는 한국교회에 새로운 질문을 던졌는데 그것은 교회와 국가권력의 관계성이다. 정부의 현장예배 통제라는 낯선 상황에 처음에는 적잖이 당황했지만 보건상의 이유로 진행되는 불가피한 조치였기에 적극적으로 협조했다. 물론 일각에서 국가의 행정명령을 종교자유를 침해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어 호된 비판을 받은 바도 있다. 하지만 방역이 ‘절대선’이라는 강박에서 한발짝 물러선 지금 그러한 조치에 대한 그늘은 없었는지 반문해보는 것은 비단 혼자만의 생각인가? 현 코로나19 상황에서 국가의 거대한 감시권력이 용인되고 있지만, 역사적으로 보면 국가권력이 반드시 선의로 굴러가지 않았다는 점을 교회는 한시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코로나19는 우리에게 상처와 더불어 많은 과제를 남겼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과제들을 관통하는 원리 역시 신학이라는 점이다. 임기응변식 처방이 아닌 문명사적 전환기에 분명한 신학적 원리를 수립해야 할 것이다. 과거 유럽의 페스트가 가져온 죽음의 그림자 뒤에 합리주의가 등장했다는 역사에 주목해야 한다. 역병과 재앙으로 인한 죽음이 불러온 존재론적 허무주의는 인식론적으로 기존 질서에 대한 회의주의로 연결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한국교회에 코로나19의 대응과 더불어 신학적 방역의 중요성이 요구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부디 한국교회가 이 위기를 통하여 새로운 미래를 열어가는 은혜의 기회를 만들기를 기원한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