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강석 목사(새에덴교회, 부총회장)

소강석 목사(새에덴교회, 부총회장)
소강석 목사(새에덴교회, 부총회장)

지난 월요일 김종준 총회장과 총회 임원들이 통합측 총회회관을 방문했다. 총회장께서 설교를 하셨고 나는 축사를 했다. 나는 이렇게 축사를 시작했다.

“우리는 1959년 WCC 가입 문제로 교단이 분리되는 아픔을 겪었습니다. 우리 교단의 선진들은 신학적 보수를 사수하기 위해서 WCC 가입을 반대하였고 통합측의 선진들은 에큐메니칼 정신을 추구하며 WCC 가입을 찬성한 것입니다. 영국에서도 로이드 존스와 존 스토트가 교회론 문제로 양분이 된 적이 있었는데 그 결과 지금은 박살이 난 상태입니다. 그러나 우리 교단의 선진들은 그 허허벌판에서 땀과 눈물을 흘리며 오늘의 총신대와 총회회관을 세웠고 우리나라 최대의 장로교단으로 부흥을 이루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양 교단은 아픔에만 머물러있지 말고 한국교회를 지키고 세우기 위해서는 함께 손을 잡고 연합을 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나는 우리 교단의 기자들이 보도를 할 때 왜 이런 내용을 생략했는지 아쉽다. 역사의 아픔을 기억해야 아름다운 연합도 가능한데 말이다. 통합측의 신학교는 대광중학교라고 하는 좋은 환경에서 시작했다. 그리고 미장로교 선교본부의 넉넉한 지원을 받으면서 광나루에 장신대를 세웠다.

그러나 우리 교단 신학교는 남산에 콘센트 건물(당시 대한신학교 교사)을 임대하여 사용했다. 이때 당시 부총회장이었던 김윤찬 목사가 미국 페이스신학교의 총장이자 ICCC 총재 메킨 타이어 박사에게 장문의 편지를 보낸다. 편지의 내용은, “한국 보수진영의 신학교가 WCC 진영과 나눠진 후 신학교 교사가 없어 교단이 무너질 위기에 처해 있으므로 보수신학을 지키는 메킨 타이어 박사께서 모금운동을 하여서 우리 교단 신학교 교사를 마련하는데 큰 도움을 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이었다.

그러자 미국 페이스신학교에 유학중이었던 김윤찬 목사의 장남 김해성 군이 메킨 타이어에게 편지를 전해 주었다. 그래서 메킨 타이어 박사는 자신이 운영하는 방송에 이러한 사실을 호소하여 당장 10만 불을 모금하여 김윤찬 목사에게 전해주었다. 하지만 김윤찬 목사는 총회의 허락을 받지도 않은 채 ICCC 총재에게 모금운동 편지를 보냈다고 비난과 공격을 받는다. 이유는 당시 우리 총회가 WCC도 반대하였지만 극단적인 근본주의자요, 분리주의자로 알려진 메킨 타이어와도 거리를 두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 일로 김윤찬 목사는 총회 앞에 정중하게 사과를 한다. “저는 교단 신학교를 세울 수만 있다면 얼마든지 사과하겠습니다. 하지만 어떻게든 신학교를 건립하여 우리 총회의 든든한 기초를 놓아야 합니다.”

결국 총회 총대들이 김윤찬 목사의 진정성 있는 사과에 감동하여 총회장을 두 번이나 하도록 하였고, 용산신학교 교사 마련에 온 힘을 집중했다. 이렇게 어렵사리 만든 용산신학교는 오늘날 총신의 전신이 되었다. 그러나 용산신학교는 강당이 없어서 복도 구석에까지 서서 예배를 드려야 했다. 교수들은 몇 달씩 월급도 받지 못했고 학생들은 학교 재정을 마련하기 위하여 전국 교회로 모금을 하러 다녔다. 그런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5년 동안 약 400여 명의 학생들을 배출한 것이다. 오늘날 총신대학교는 이런 눈물과 땀의 과정을 거쳐서 세워지고 발전하게 된 것이다.

오늘 우리는 과거의 눈물겨운 피와 땀의 역사를 잊지 말아야 한다. 월급을 제대로 받지 못하면서도 후학 지도에 사명을 다한 교수들, 신학교 재건을 위하여 모금에 동참한 전국의 교회들, 강당도 없는 신학교에서 눈물을 머금고 보수신학을 배운 후 교회 개척에 나선 신학생들, 보수신학을 지키기 위한 일념으로 신학교를 다시 재건하고 모든 힘을 쏟아 부었던 교단의 지도자들. 이 모두가 오늘의 세계적인 총신과 한국교회 장자 총회를 세우는 데 공로자들이었다. 우리 교단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역사를 기억하고 초심을 회복할 때 우리는 다시 새로운 교단 100년의 그림을 그릴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