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퍼즐 문화연구소 소장〉

2017년 5월 <겟 아웃>이라는 영화가 개봉해 유명 배우 하나 없이 의외의 큰 성공을 거뒀다. 영화를 연출한 조던 필 감독은 미국에서 이미 스탠드 업 코미디로 유명한 코미디언이었다.

흑인 아버지와 백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그는 인종차별이란 문제를 직면하며 살았는데 그는 완전히 백인도 흑인도 아닌 그 중간 어디쯤 있는 것처럼 취급받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코미디언이라는 전문 직업을 갖진 후 인종차별을 단골 소재로 사용했고 지금은 이 분

우리에게 사랑과 관용의 진심을 일깨워주는 영화 &lt;겟 아웃&gt;.
우리에게 사랑과 관용의 진심을 일깨워주는 영화 <겟 아웃>.

야에서 가장 유명한 사람으로 자리매김했다.

<겟 아웃>은 흑인 남자가 백인 여자친구의 집에 초대를 받으며 벌어지는 이야기다. 흑백 커플이라는 세팅은 영화 관객의 머릿속에 특정 패턴의 이야기 전개를 그리게 한다. 우리 속에 존재하는 ‘선입견’ 때문이다. 조던 필 감독은 그 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영화의 외피는 일반적인 공포 영화의 화법을 두르고 있지만, 그 안을 잘 들여다보면 미국 사회 안에서 사람들이 인종에 관해 흔히 가지고 있는 선입견을 역이용해서 생각의 허점을 찌른다.

감독은 영화를 통해 포스트 인종차별의 시대를 그리고 있다. 즉, 미국의 첫 흑인 대통령이었던 버락 오바마의 임기가 끝난 이후의 미국 사회를 상정한 것이다. 미국 사회에서 흑인과 관련해 가장 큰 선입견은 그들이 스포츠나 배우 이외에 다른 분야에서 성공하기 힘들다는 생각이었다. 그런 사회적 편견을 딛고 일어난 오바마는 대통령의 자리까지 올라갔고 그가 미국의 수장으로 있던 8년의 세월은 흑인들에게 치유의 시간이자 변화의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수백 년 동안 그들을 괴롭혀 온 인종차별의 망령은 쉬이 가시지 않았다. 오히려 차별은 일종의 버전 2.0의 모습으로 진화하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의 퇴임 이후 겉으로는 노골적인 흑인차별이 정치적 올바름이라는 이름으로 사람들의 질타를 받았지만, 내면은 전혀 건드리지 못했다. 자연스럽게 인종차별의 옷은 예전의 것과는 다른 모양으로 진화했다. 영화 <겟 아웃>의 많은 장면에서 그런 감독의 의도를 읽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에 등장하는 백인들이 끊임없이 주인공인 흑인 남자에게 자신이 흑인을 좋아한다는 식의 언급을 한다. 이런 말들은 마치 겉으로는 자신이 호의적이고 선한 의도를 가진 백인인 것처럼 보이게 하지만 흑인을 그 자리에 함께 있는 다른 백인들처럼 대하지 않고 특별 ‘대우’를 받아야만 하는 존재로 만들어 버리고 만다. 여기서 말하는 ‘특별’ 대우란 타자가 나와 같음을 의미하는 포용이 아니라 나와 타자의 다름을 배제의 방식으로 구분하는 것을 의미한다.

영화에서 보여준 것처럼 인종과 피부색 등으로 드러나는 외적 차이부터 생각이나 가치관 같은 내적 차이가 있다. 그 차이를 그리스도인으로서 어떻게 인식하고 대할 것인지는 이제 우리에게 남겨진 선택이다. 우리 안에 편견을 유지한 채 차이를 대하면 그 태도는 차별로 이어지지만, 예수의 마음으로 편견을 극복하고 차이를 수용하면 포용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나는 예수를 좋아한다. 그러나 기독교인은 싫어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예수와 전혀 닮지 않았기 때문이다.”

마하트마 간디가 남긴 유명한 말이다. 이 말에 동의하는 사람들이 안타깝게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그의 말처럼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이 예수님과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살아가기 때문이다. 예수님은 당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을 깨뜨리며 주변 사람들에게 사랑과 관용의 모습을 보이셨다. 감독은 먼저 편견이라는 박스에서 나와야(“겟 아웃”) 한다고 말한다. 지독한 편견의 박스에서 나오는 방식은 사람마다 다른 모양일 수 있다. 그러나 편견이라는 박스가 존재함을 인식하고 그 테두리로부터 적극적으로 겟 아웃 하도록 노력하는 것은 그리스도인 모두의 숙제가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