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발전연구원 세미나서 ‘공공성 확립’ 강조

공공성을 강조하는 정치권과 종교의 자유를 외치는 교회가 사회를 위해 협력할 수 있을까. 한국사회발전연구원은 14일 세미나에서 이 문제를 논의했다. 논평자로 나선 예장합동 총회 최우식 총무(오른쪽 두 번째)가 의견을 개진하고 있다.
공공성을 강조하는 정치권과 종교의 자유를 외치는 교회가 사회를 위해 협력할 수 있을까. 한국사회발전연구원은 14일 세미나에서 이 문제를 논의했다. 논평자로 나선 예장합동 총회 최우식 총무(오른쪽 두 번째)가 의견을 개진하고 있다.

한국사회발전연구원(이사장:조일래 목사)은 6월 14일 한국기독교회관에서 6차 세미나를 개최했다. ‘종교와 국가의 바람직한 관계:공적영역에서 발전적 관계를 위하여’란 주제로, 한국종교사회학회(회장:전성표 울산대 교수)와 공동으로 개최했다.

발제는 정태식(경북대) 최현종(서울신대) 이정훈(울산대) 교수가 나서 정치와 종교의 바람직한 관계를 조명하고, 정치와 종교가 긴장과 협력을 통해 공공의 발전을 이루는 방안을 모색했다. 예장합동 최우식 총무를 비롯해 한국장로교총연합회 박종언 목사와 한국교회언론회 이억주 부회장이 토론자로 나섰다.

정태식 교수는 역사적으로 정치와 종교는 긴장-타협-공조(동맹)의 관계를 맺어왔다고 말했다. 문제는 정치와 종교가 야합하는 경우다. 정 교수는 “정치의 본질은 타협이다. 종교의 본질은 절대성이다. 정치와 종교가 야합을 하면, 정치는 타협 없는 자기옳음만 주장하고 종교는 상대화하는 부정적 영향이 나타난다”고 지적했다. 정태식 교수는 종교가 사회에서 인정받는 이유는 보편성 곧 모든 사람에게 유익을 끼치는 공공성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교회를 비롯해 종교들이 비판받는 이유는 “공공성의 수준이 낮기 때문이다. 정치와 경제에 예속돼 보편성을 잃어버렸기 때문이다. 종교는 사회에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해야 하지만, 정치와 경제 권력을 추구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최현종 교수는 한국사회와 교회에 밀접한 ‘공적 영역에서 종교의 자유’를 주제로 발제했다. 현재 우리나라는 기독교학교를 비롯해 모든 종교 사학의 자율권을 제한하고 있다. 교육에서 종교의 자유보다 공공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다. 최 교수는 미국 프랑스 네덜란드 등 다른 나라의 상황을 조사한 후, 네덜란드에서 시행하는 관용형 모델의 도입을 제안했다. 네덜란드는 종교인이 자신의 정체성 안에서 최대한 자유를 누리도록 보장한다. 종교 학교의 경우, 교육 목표와 커리큘럼 학생선발 등 자율권을 보장하고 있다. 다만 종교 사학에 대한 재정지원을 크게 줄이고 있다.

최현종 교수는 “현대사회는 성적지향성과 민족성처럼 종교성도 개인 정체성의 중요한 요소로 보고 있다. 이제 한국사회도 종교성과 공공성의 정립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