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 총회는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면서 시작되었다. 그 중요한 이슈 중 하나가 상비부 정상화다. 상비부는 글자 그대로 총회라는 짧은 회의가 끝나도 총회의 통상적인 사역을 감당하기 위해 존재한다. 회의 몇 번이나 몇 차례 통상적인 행사로 회기를 마감하고 또 다른 누구에게 자리를 넘기는 형식적 상비부에 우리는 싫증을 내고 있다.

상비부가 정상적으로 운영되면 온갖 위원회나 특별위원회 등이 굳이 난립할 필요도 없다. 1만3000여 교회의 피같은 헌금이 담보된 사역의 효율성과 가성비를 높이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필요하다. 물론 사역의 특성이나 사회적 필요에 따라 몇몇 상설위원회가 필요함을 부정하지 않겠다. 그러나 상비부가 정상적으로 기능하기만 하면 그런 위원회의 난립은 최소화 할 수 있다.

지난 총회 기간 중에도 몇몇 상비부의 효율적 기능으로 총회가 매끄럽고 신속하게 진행되는 데 큰 기여를 했던 기억이 난다. 정치부가 그랬다. 정치부장은 개인적 판단이나 생각을 과감하게 포기한 것으로 평가된다. 또 일일이 나열하지 않더라도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면 빛나는 성과를 보이는 부서들을 볼 수도 있다. 상비부는 이름 그대로의 정상화가 필요하다. 여기에는 상비부 사역에 대한 효과적 설정이라는 과제가 뒤따른다. 이는 총회의 사역 방향 결정과도 연관된 것이다.

따라서 상비부는 그 구성이 중요하다. 이것 때문에 상비부원을 배치하는 공천위원회의 부장 선거는 여타의 부장들과 다르다. 그럼에도 인맥 등을 통해서 원하는 부서를 차지하려고 공천위원회에 손을 뻗치는 모습이 포착되곤 한다. 오히려 지역협의회 등은 적절하게 파악해서 좋은 인사들을 적재적소에 추천하는 순기능을 해야 한다. 공천위의 보고서가 배부된 후에도 자리가 뒤바뀌는 경우도 있다. 규정까지 만들어 회전문식 주요 상비부 독식을 막고 있지만 이 또한 비웃듯 쥐고 흔드는 모습을 목격하기란 그리 어렵지 않다.

상비부의 리더십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우선 부장은 사명감이 확실해야 한다. 사명감뿐만 아니라 능력이 검증되거나 예측 가능해야 하며 도덕적 신뢰성도 담보돼야 한다. 따라서 기존의 운영체제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지만 당장 바꿀 수 없다면, 적절한 총대들이 역할을 하도록 분위기를 만들고 응원해야 한다.

교회의 사회적 책임과, 무너진 가치관 회복 그리고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이라는 국가적 과제에 대한 교단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시급하기에 더욱 그렇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