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회교회자립개발원이 권역위원회를 출범시켰다. 그동안 교회자립개발원은 이사회에서 정책을 개발하고 직접 사업을 추진했다. 앞으로 중앙본부인 이사회는 총회와 소통하며 정책을 개발하는 역할을 하고, 정책을 각 노회와 교회를 통해 시행하는 기능은 8개 권역에 이양했다.

현재 교회자립개발원 이사회는 100회기에 출범했다. 3년 동안 총회본부 내에 사무실을 두고 자립사업에서 가장 중요한 교회통계조사를 진행했다. 도시와 농어촌 미자립 교회를 위해 세미나도 열었다. 미자립 교회 목회자 자녀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했다. 총회가 지원한 예산은 겨우 1억원이었다. 지난 102회기 결산액은 5억1450만원이다. 사업비만 4억원에 달한다. 이 재정을 모두 교회자립개발원 이사와 소속 교회들이 감당해 왔다.

미자립 교회를 위해 헌신한 이사들이 권역위원회를 출범하며 다시 권한을 내려놓았다. 이사회는 모든 권한을 갖고 자립사역을 추진하다보니, 한계가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정책을 세우고 추진해도 각 지역과 노회들은 ‘협력이 아닌 지시’로 여기고 반응하지 않았다. 이를 타계할 방안으로 “서로의 사정과 형편을 잘 아는 각 지역에서 미자립 교회를 위한 사역을 직접 시행하는 것”을 제시한 것이다.

한국을 비롯해 많은 국가들은 중앙정부에 모든 권한을 집중시키지 않고 지방자치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예장통합 교단도 총회는 정책개발에 집중하고, 그 정책을 노회에서 시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런 시스템이 사회의 변화와 다양한 의견을 충족하는 데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우리 총회는 여전히 중앙(총회임원회와 상비부)에서 모든 권한을 갖고 사업과 예산을 집행하고 있다. 그 결과 총회집중화와 총회정치화가 심해졌고, 그 결과 부정과 부패 의혹으로 총회를 불신하는 의식이 높아졌다.

교회자립개발원은 총회 산하 기구로서, 각 지역에 권한을 이양하는 중요한 결정을 내렸다. 어렵고 힘든 목회자를 지원하고 미자립 교회를 자립으로 이끌기 위해, 최선의 방안을 찾았고 이제 시행했다. 교회자립개발원의 ‘분권’ 시스템이 자리를 잡길 바란다. 총회가 교회자립개발원을 결단을 배워 ‘정치가 아닌 교회를 위한 조직’이 되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