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연 역할 회복’ 총회 정서 반영, 적극 활동 나서야

총회이단(사이비)피해대책조사연구위원회(이하 이대위)가 대폭 개편됐다. 제103회 특별위원 선임 결과 102회기 이대위원 중 위원장 김영남 목사를 비롯한 6명이 교체된 것이다.

총회의 이러한 파격적인 조치는 총의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지난 제103회 총회를 앞두고 교단 곳곳에서 이대위를 재구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비록 정치부로 이관하는 과정에서 취하하긴 했지만 여수노회 등 7개 노회는 이대위를 이단전문가와 신학교 교수로 구성하자는 헌의안을 올리기도 했다. 이전까지 이대위 인적 구성이 도마 위에 오른 적이 없던 것과 비교하면 이대위에 대한 불만이 상당했다는 방증이다. 그렇다면 102회기 이대위의 문제점과 103회기 이대위가 반면교사 삼아야 할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자.

102회기 이대위의 첫 번째 문제는 이대위원간의 알력다툼이었다. 102회기 들어 이대위원이 대폭 교체되면서 기존 위원과 새 위원 사이에 갈등구조가 형성됐다. 양측은 이대위원장을 선출한 첫 회의 때부터 충돌하더니 회기 말까지 반목을 거듭했다.

이렇다보니 이대위 본연의 역할도 충실히 이행하지 못했다. 총회 수임안건을 처리하고 이단대책세미나를 개최한 게 전부였다. 101회기 이대위가 사이비특별법 제정에 나서고 신천지 위장교회에 대한 법적 대응을 논의한 것과 비교하면 뾰쪽하게 내세울 활동이 전무했다. 이번 회기에도 대폭 개편이 있는 만큼 이대위원들이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대목이다.

아울러 102회기 이대위는 전문위원을 활용하지 않았다. 이단상담소장이나 신학대 교수를 전문위원 명단에 올려놓긴 했지만 102회기 내내 한 차례도 전문위원을 소집한 적이 없고 이단사이비 연구에도 참여시키지 않았다. 제103회 총회 이단사이비 관련 수임안건을 살펴보면 그 어느 때보다 예민한 사안이 많다는 점에서 전문위원의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다.

알력다툼이나 전문위원 배제는 그나마 봐줄 만하다. 가장 큰 문제는 102회기 이대위의 총회 수임안건 처분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다. 실례로 정동수 건과 김풍일(김노아) 건을 들 수 있다.

제102회 총회는 정동수와 김풍일에 이단성이 있으나 반성의 여지가 있어 1년간 예의주시하기로 결의했다. 그렇다면 이대위는 정동수와 김풍일이 이단성을 반성하고 수정했는지 확인하고 그에 따른 처분을 내리면 된다. 그런데 제103회 총회에서 이대위는 별다른 변화가 없는 정동수와 김풍일에 대해 참여금지로 보고하고, 또 다시 기회를 줘 2019년 5월 31일에 재론하기로 한 것이다.

이대위원을 역임했던 모 목사는 “정동수와 김풍일 건은 직전 총회에서 1년간 예의주시하기로 했으면 제103회 총회현장에서 결론지었어야 했다. 이대위가 또 다시 재론 기회를 준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이대위가 소극적인 처분을 내린 이유는 이단 연구결과를 다룰 때마다 일부 위원이 소송에 걸릴 수 있다고 으름장을 놨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이 반복되자, 급기야 회기 말 회의 중 모 위원이 “로비를 받은 게 아니냐”고 성토하면서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102회기 내내 삐걱거렸던 이대위의 민낯을 제대로 드러낸 사건이었다.

그동안 총회 이대위는 교단을 넘어 한국교회에 이단사이비 침투를 막는 첨병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102회기 이대위는 첨병 역할은커녕 위상에 흠집만 냈다. 103회기 이대위원, 특히 교체된 위원들과 더불어 이대위 추락에 책임이 있는 기존 이대위원들이 뼈를 깎는 자세로 이대위를 정상궤도로 올려놔야 할 것이다. ‘변화하라’는 제103회 총회주제를 새기고 실천해야 할 위원회가 있다면 바로 이대위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