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단기획/변화, ‘인人제制 혁신’으로 완성된다] ②슬림하게 강하게

제103회 총회, 특별위 과감한 정리로 상비부 역할에 힘 실어
위원회 축소로 총회재정 ‘숨통’…일 할 수 있는 여건조성 중요

 

▲ 제103회기 총회임원회가 특별위원회를 어느 정도까지 축소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사진은 103회기 총회 장면.

매년 특별위원회 총회 보고 때 자주 나오는 말들 중 하나가 “유인물대로 받자”는 것이다. 회의 시간을 줄이자는 의도이기도 하고, 유인물에 충분히 잘 설명돼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러나 실제로는 다른 뜻도 숨어 있는데, 그것은 관심이 가고 주목할 만한 내용이 없다는 것이다. 한 회기 동안 열심히 활동해 보고 또한 알찬 특별위원회가 있는 반면, 적잖은 특별위원회 보고에서는 특별한 것이 없다. 보고서 또한 부실할 때가 많다. 102회기 A상설위원회 보고는 1장짜리 보고서가 전부였다. 내용 또한 한 차례 회의를 한 것이 전부였다. B특별위원회는 이러저러한 사안을 총회에서 수임 받아 사업을 계획했으나, 재정 지원이 안 돼 사업을 진행할 수가 없었다는 내용이 보고의 전부였다.

특별위원회 보고가 부실한 것은 위원회 구성원들의 책임이지만, 위원회 조직을 결의한 총회총대들의 책임이기도 하다. 필요성과 효용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헌의안이 올라왔으니 그대로 해주자는 편의주의적 발상이 이른바 ‘특별위원회 남발’을 조장한 것이다. 상비부와 사업이 겹치는 특별위원회를 조직할 때도 많다. 이럴 경우 관련 상비부와 비슷한 사업을 진행하거나, 기존 사업을 반복할 때가 많고, 결과적으로 총회 보고 때가 돼서야 특별위원회 활동을 종료하고 관련 상비부로 사업을 이관할 때가 많다. 제103회 총회에서 자발적으로 언론홍보위원회 폐지를 제안한 김종준 목사(부총회장)의 말은 이 같은 현실을 여실히 드러낸다. 2년간 언론홍보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한 김 목사는 “임원회에서 언론홍보를 맡아야 보다 효과적으로 활동할 수 있다”며 언론홍보 활동을 총회임원회로 이관할 것을 제안해 총대들로부터 공감을 얻었다.

특별위원회 남발돼

제103회 총회는 특별위원회 운영에 있어 큰 변화를 시도했다. 상비부와 연관성이 있는 위원회는 상비부로 연결하고, 연장과 폐지 여부를 총회임원회에 전권을 맡겨 처리키로 한 것이다. 기구 개혁 차원에서 효용성을 따져 과감히 특별위원회를 정리하고, 그 여력을 상비부로 돌려 보다 효과적으로 활동하도록 한다는 생각이다. 당장 총회 현장에서는 총회정책연구위원회, 총회장상포상위원회, 언론홍보위원회를 폐지했으며, 개혁사상부흥운동위원회는 자발적으로 활동 종료를 선언했다.

이승희 총회장의 지적처럼 총회는 그간 불필요한 특별위원회를 너무 많이 만들었다. 총회가 특별위원회를 남발했다는 지적은 통계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총회실행위원회를 제외하고 최근 5년간 특별위원회(상설위원회 포함)는 평균 29개에 달했다. 회기마다 21개 상비부 숫자보다 많은 특별위원회가 조직된 것이다. 회기별로는 98회기에 31개 특별위원회가 있었고, 99회기에는 29개, 100회기에는 22개 위원회가 활동했다. 101회기에는 가장 많은 위원회가 조직돼, 7개 상설위원회와 30개 특별위원회가 활동했다. 지난 102회기는 9개 상설위원회와 19개 특별위원회가 조직돼 활동했다.

특별위원회 가운데는 과연 이 위원회가 필요했는지 의구심이 드는 곳이 여러 곳 있다. 98회기 증경총회장예우에관한연구위원회 총회장소선정연구위원회, 99회기 기후환경위원회, 100회기 사회복지위원회, 101회기 총회준비위원회 세례교인헌금지원방안연구위원회 국가법대책위원회 전력피크제대책위원회 등의 경우 기존 상비부와 사업이 겹치거나, 상비부가 충분히 수용해 처리할 수 있었다는 지적이 많았다.

특별위원회 축소 요구는 상비부 산하 특별위원회도 예외가 아니다. 102회기 기준으로 전도부 산하에는 교정선교위원회와 이만교회운동본부가, 군목부 산하에는 총회군선교사회와 군선교회가, 경목부 산하에는 총회경찰선교회가, 학생지도부 산하에는 학원선교위원회가 있다. 이들 특별위원회는 상당 부분 사업이 상비부와 겹치는 부분이 많아 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재정 부분 역시 고려해야 할 사안으로, 모 산하 특별위원회의 경우 상비부 재정의 절반 이상을 사용하고 있어, 주객이 전도됐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재정 활용 고민해야

특별위원회 축소는 총회 재정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결산액 기준으로 102회기 9개 상설위원회는 회의비와 사업비, 연구비 등으로 2억5573만8510원을, 19개 특별위원회는 회의비로만 1억9323만8120원을 사용했다. 가장 많은 37개 위원회가 활동했던 101회기에는 상설위원회가 6억2027만4260원을, 특별위원회가 2억596만9900원을 사용했다. 22개 위원회가 활동했던 100회기에는 상설위원회가 3억6859만3375원을, 특별위원회가 1억3232만4585원을 사용했다. 한 해에 최소 4∼5억원 가량이 각종 특별위원회 재정으로 사용되는 셈으로, 특별위원회를 축소할 경우 상당한 경비를 아낄 수 있고, 이를 상비부 활성화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총회재정부장을 역임한 한 장로는 “위원회는 만드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일을 할 수 있게 해줘야 한다. 특별위원회 예산은 회의비밖에 없고, 사업비가 없다. 추경을 요청해도 빠듯한 예산에 줄 돈도 없다. 이렇다보니 정작 필요한 곳에 지출이 어렵다”며 특별위원회를 축소하는 것이 도리어 특별위원회 제도를 위해서 필요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조준영 기자 joshua@kidok.com

101회기 기구개혁, 왜 실패했나
총회장 의지따라 ‘좌지우지’ … ‘연속성’ 갖춰야 성과

지난 몇 년간 논의된 총회 기구개혁의 흐름은 “밀려왔다 스러진 파도 같았다”라는 한 문장으로 표현 가능하다.

제101회 총회에서 국내선교부 통합 연구와 군선교위원회 통합 연구 안건을 가결할 때만해도 기구개혁은 거스를 수 없는 파도처럼 보였다. 특히 당시 총회장 김선규 목사의 의지가 강했고, 총대들 사이에도 총회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자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그런데 불과 1년 만에 기구개혁 이슈가 스러졌다. 제102회 총회에서 국내선교부 설립은 부결됐고, 군선교위원회 통합은 관련 부서간의 의견 차이로 논의조차 되지 않았다. 심지어 기구통폐합의 방향을 제시했던 총회기구혁신위원회마저 폐지되는 상황을 맞았다. 왜 이런 일이 생겼을까.

국내선교부 설치 연구위원을 역임한 모 목사는 “총회장이 원하지 않았다. 전계헌 총회장은 1년간 연구하고 준비한 사안을 의견개진 한번 없이 거수투표에 맡겼다”고 지적했다. 총회기구혁신위원을 역임한 모 목사 역시 “총회장의 의지가 부족해서 총회기구혁신위가 폐지됐다”고 밝혔다.

이들의 이야기에 따르면 전임자는 기구개혁의 기치를 올렸고 반면 후임자는 그것을 원치 않았던 모양새다. 기구개혁에 대한 커다란 간극, 즉 101회 총회장과 102회 총회장간의 ‘기조 단절’이 이러한 사태를 초래한 것이다. 권력이 총회장에게 집중된 총회구조에서 언제든 생길 수 있는 일이었다.

결국 기구개혁의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총회장의 의지가 중요하다. 다행히 이승희 총회장은 기구개혁의 의지가 상당해 보인다. 제103회 총회에서 결의된 특별위원회 축소 및 상비부 강화, 1인 1위원 명문화, 회전문 인사 차단 등을 보면 알 수 있다. 또한 이승희 총회장은 군목부 임원들에게 군선교위원회 통합에 대해 다시 연구할 것을 주문하기도 했다.

하지만 현 총회장만 노력한다고 되는 게 아니다. 기구개혁이 한 회기 만에 될 사안이 아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보자. 기구개혁 관련 총회결의가 있다고 해도 연구와 관련 기관 합의에만 1년이 걸린다. 그리고 다음해 총회에서 연구결과를 결의를 해야 하고 이어 총회헌법과 규칙도 수정해야 한다. 최소 2~3년이 걸리는 셈이고, 기구개혁의 대상이 총회 내 산적해 있다. 따라서 기구개혁의 키워드는 무엇보다 ‘연속성’이다.

현 총회장만이 아니라 차기 총회장 또 그 다음 총회장 등이 기구개혁의 기조를 이어받지 않으면 좌초될 수밖에 없다. 그만큼 쉽지 않은 여정이 될 것이다. 정치권의 방해도 만만치 않을 것이다. 하지만 기구개혁을 해낸다면 총회의 미래가 달라질 것이다. 개혁은 쓰지만 그 열매는 달콤하지 않은가.

송상원 기자 knox@kidok.com

‘상비부 강화’ 어떤 방안이 있나
유사 기능은 통폐합하고 콘텐츠 연구·개발 중요

제103회 총회가 상설·특별위원회 대폭 축소키로 결의한 것은, 궁극적으로 상비부 강화 전제가 깔려 있다. 상비부 강화에는 이견이 없다. 하지만 상비부 역할과 기능 강화를 위해서는 넘어야할 과제가 많다. 관례에 따라 행사 위주로 운영한 상비부가 많기 때문에 생산성 제고와 대안 제시에 대한 근력이 떨어진 상황이다. 준비되지 않은 상비부 강화는 자칫 교단 사업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할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그렇다고 이번 회기부터 당장 상비부 강화를 기대하기는 곤란하다. 따라서 상비부에 창의성과 생산성을 불어넣기 위해서는 냉철하고도 과감한 결단이 요청된다. 여러 교단인사들의 자문 결과, 1차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상비부 강화 방안을 찾을 필요가 있다.

 ▶유사기능 상비부 통폐합, 상비부 신설
유사 사업 기능을 가진 상비부를 통폐합해야 한다. 통폐합 대상 상비부를 미래지향적 기능을 가진 상비부로 대체하거나 신설하면 된다.

▶상비부 기능 강화 콘텐츠 연구&개발
상비부 강화를 위해 교단 차원에서 방향성 제시와 콘텐츠를 연구 개발해 지속적으로 생산성 제고를 꾀해야 한다.

▶사업 진단 및 대안 제시 의무화
상비부마다 한 회기 사업에 대한 평가와 앞으로 발전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해 총회에 문서로 보고하는 것을 의무화 하자. 그렇다면 보다 생산적 활동을 기대할 수 있다.

▶전문가 활용하는 전문위원 제도 도입
교단 인재풀을 가동해 해당 전문가들을 필요시마다 전문위원으로 활동해 사업의 다각화와 전문성을 높이도록 해야 한다.

김병국 기자 bkkim@kidok.com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