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찬 목사(주필)

4월 3일은 대한민국 근현대사에서 줄곧 왜곡되고 은폐되어온 제주4·3사건 70주년의 해이다. 제주4·3사건은 해방 후 남한이 미군정 하에서부터 이승만 정권까지 벌어진 사건이다. 1950년 김용하 제주도지사가 밝힌 제주4·3사태 사망자 수는 2만7719명이었는데, 그로부터 10년 후인 1960년 6월 6일 자진신고를 한 국회기록에는 1만4028명으로 축소되었다. 그리고 2000년 김대중 정권에서 최종 확정한 사망자는 1만4028명으로 기록되어져 있다. 상기한 기록이 말하고 있는 것은 그만큼 제주4·3사건의 상처가 골 깊게 남아있는 것이 제주라는 말이기도 하다.

1950년 통계와 1960년 통계가 큰 격차가 나는 것은 유족들이 연좌제가 두려워 그 실상이 축소되었기 때문이었다. 당시 해방정국 하에서 제주도에는 20여 명의 좌익세력들이 제주공산당을 조직하였다. 그리고 1947년 초에는 3000명 정도의 규모로 성장하였다. 1947년 3월 1일 제주 민주주의 민족전선은 3·1절 기념집회를 열었다. 당시 이 집회를 구경하던 한 어린아이가 기마경찰의 말에 치이는 사고가 발생했는데 경찰은 아무런 조치 없이 현장을 빠져나갔다. 흥분한 군중들이 경찰에게 돌을 던졌고 이에 격분한 경찰이 총을 쏘면서 주민 6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른바 3·1 사건이었다. 제주도민들은 3월 10~13일까지 4일간 총파업에 들어갔다. ‘3·10총파업’이었다. 이에 미군정은 제주를 ‘붉은 섬’으로 규정하고 남로당이 이를 주도했다고 판단, 군정수뇌부를 외지사람들로 구성하면서 파업주모자와 좌익세력 검거 작전에 돌입한다. 검속 한 달동안 500여 명이 연행되었고 1년간 2500명이 구금되는 사태로 번져나갔다. 이에 남로당 제주도당은 1948년 4월 3일 김달삼의 주도 아래 350명이 무장하여 제주도 내 경찰 지서 12개를 점령했다.

당시 남로당 제주도당은 5·10 남한 단독선거를 방해할 목적으로 선거관리 위원과 경찰가족 등 민간인을 사살하였다. 이에 미군정이 진압했지만 제주선거는 투표자 과반수 미달로 재선거를 치러야 했다. 그해 8월 15일 정부수립을 한 이승만 정권은 제주4·3사건을 정치정통성에 대한 도전으로 판단해 제주도 경비사령부를 설치하고 계엄령을 선포해 대대적인 진압작전을 벌였다. 이제 제주4·3사건 70주년을 맞으면서 서울시의 6개 문화공간에서 네트워크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