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에 절대의존 재정 구조, 열악한 학습환경으로 이어지며 위기 키워
공동체성 강화한 후원 조직과 교육혁신 기대 ‘대안학교진흥법’에 주목해야

사례 1 : A기독교대안학교는 최근 극심한 재정난에 시달리고 있다. 원인은 학생 감소. 미인가 기독교대안학교의 경우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재정의 대부분을 학생에게 의존해야 한다. 그런데 A학교는 3년 전만해도 60명이던 전교생이 최근 30명 선으로 주저앉았다. 학생 이탈은 학교 운영에 직격탄을 날렸고, A학교는 그 여파로 해외 및 국내 캠퍼스를 정리해야 했다.


사례 2 : B기독교대안학교 대표 ㄱ목사는 본연의 사역인 학교 운영보다 홍보에 더 집중하고 있다. ㄱ목사는 교계 방송과 언론에 학교 홍보에 열을 올리고, 교계 행사 때마다 학교에서 조직한 음악팀을 동원했다. 주변에서는 “학교가 아니라 홍보 기획사 같다. 과장 광고를 넘어 사기에 가까운 선전을 한다”며 눈치를 주지만 ㄱ목사는 “학교가 존립하려면 무슨 짓이라도 해야 한다”고 응수한다.

▲ 학령인구 급감과 한국교회 후원 감소로 기독교대안학교가 재정난에 허덕이고 있다. 따라서 학부모에게만 의존하던 재정구조를 탈피하고 수익구조를 다변화시켜야 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위 사진은 특정기사와 관련 없음.

“학부모 부담 증가세”

기독교대안학교가 존폐의 기로에 서있다. 학령기 인구 급감으로 학생이 줄어들고, 한국교회 침체로 후원이 어려워지면서 문을 닫는 학교들이 하나둘씩 증가하고 있다.

기독교학교교육연구소 박상진 소장은 “대다수의 미인가 기독교대안학교는 학생충원이 재정수입과 직결된다. 더군다나 한국교회가 저성장시대에 접어들면서 교회가 학교를 지원할 수 있는 재원도 고갈되어 가고 있다”면서 “기독교대안학교들은 존폐의 기로에 서있다”고 말했다.

기독교교육 전문가들이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학부모 중심의 수익구조다. 기독교학교교육연구소가 국내 39개 기독교대안학교를 조사한 결과, 미인가 기독교대안학교의 1년 전체수입(2015년 결산 기준) 중 78.6%가 학부모가 부담하고 있었다. 이는 2011년 조사 때의 70.7%보다 더 상승한 수치다.

박상진 소장은 “5년 전 조사를 비교하면 학부모의 부담이 점점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면서 “학부모에 대한 과도한 의지는 결과적으로 학교 운영에 어려움을 초래한다. 학부모가 지는 부담을 줄이기 위해 운영 주체의 전입금을 높이거나 국가로부터 지원 받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기독교대안학교의 경우, 2017년 전체수입 예산안 중 학부모가 부담하는 비율이 88.7%나 됐다. 학부모는 수업료(58.0%)를 비롯해 발전기금 및 입학금(6.2%), 예탁금(7.5%), 선택수업(11.4%), 이동수업 및 수련회비(5.4%) 등 다양한 항목을 담당해야 했다.

반면 학교를 설립한 법인이나 정부의 지원금은 전무했다. 다만 C학교와 관련을 맺고 있는 ㄴ교회가 전체수입의 0.7%를 지원하고 있으며, 후원은 0.4%에 불과했다. 즉 학교 재정의 90% 가까이를 학부모가 담당하고 있으며, 후원은 1%에 불과해 불안한 수익구조를 보였다.

재정악화=열악한 학습 여건

학부모 의존도가 높다보니 학습 환경이 열악한 것은 당연하다. A기독교대안학교는 2월 초 개학을 2월 말로 미뤘다. 학생들이 등교해도 난방을 틀어줄 수 없는 형편이기에 “날이 풀릴 때까지 가정에서 자율학습을 하라”고 통보했다. 극심한 경영난으로 교사 절반이 학교를 떠나야 했다.

A학교 인근에 있는 D기독교대안학교도 상황은 마찬가지. 100명이 넘었던 학생이 60명 수준으로 주저앉으면서 학사일정에 비상이 걸렸다. 이 학교는 결국 해외연수나 특별활동 등을 줄이기로 했다. 교사 급여도 동결했으며, 노후된 건물도 수리하지 않고 그대로 쓰기로 했다.

기독교교육 전문가들은 기독교대안학교들이 극심한 재정난을 겪는 이유를 수익구조를 다변화시키지 못한 결과로 보고 있다. 기독교대안학교의 절대다수는 미인가 교육기관이다. 따라서 정부의 지원이 없다. 그렇다보니 재정의 대부분을 학부모와 후원으로 충당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학령인구 급감으로 교육할 학생이 줄어들고 있다. 후원의 한 축을 담당했던 교회들도 재정악화로 지원을 끊고 있다. 결국 학생 감소와 후원 중단으로 기독교대안학교들이 존폐위기에 처한 것이다.

A기독교대안학교 관계자는 “재정보다 더 중요한 것은 신앙이다. 다음세대에게 기독교 세계관을 심어주기 위해 정부지원을 포기하고 학교를 시작했다”면서 “하지만 최근 학생 급감과 후원 교회의 지원 중단으로 재정난이 극심하다. 학교의 가장 큰 자산인 선생님들도 떠나고 있어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후원조직, 대안교육진흥법 주목

위기에 빠진 기독교대안학교를 살릴 방법은 없을까? 박상진 소장은 ‘공동체성’이 해결방법이라고 말했다. 그는 “기독교대안학교는 수익사업을 하는 기관이 아니고 한국교회의 다음세대를 하나님 나라의 일꾼으로 세우는 교육기관”이라면서 한국교회가 다음세대를 살린다는 공동체성을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교회가 기독교대안교육운동을 교회사역으로 인지하고 학교에 장학금을 기탁하는 것이다. 또한 교회 목회자가 학교사역을 병행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예수길벗교회의 경우 목회자 2명이 밀알두레학교 교목으로 섬기고 있다. 이런 관계로 교회는 정기적으로 학교에 후원금을 전달하고 있다.

교단적인 지원도 생각해볼 수 있다. 미국 기독교개혁교단(CRC)은 교단 산하의 기독교학교들에게 지원금과 장학금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도 교단을 중심으로 ‘기독교학교후원회’를 조직해 활성화시키는 것도 위기의 기독교대안학교를 살리는 방안이 된다.

정부의 지원도 모색해 볼 수 있다.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대안교육진흥법안’이 통과되면 정부는 대안교육기관에 경비를 지원해야 한다. 김병욱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지난해 9월 대표발의를 하면서 “대안교육은 제도화된 교육을 넘어 교육혁신을 위한 새로운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면서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여 교육기본권을 보장하는 것은 헌법이 보장한 교육에 대한 국가의 책무이기에 대안교육진흥법을 발의하게 됐다”고 입법 취지를 설명했다.

기독교대안교육운동은 무너진 주일학교와 공교육을 살리는 대안으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학부모 중심의 재정구조는 학교를 위기로 몰아놓고 있다. 다음세대는 학교만의 책임이 아니다. 한국교회 공동의 사명임을 기억해야 한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