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위원회 구성에 대한 비난의 소리가 무성하다. 그 밥에 그 나물식의 인사배치가 이번에도 도마 위에 오른 것이다.

총회특별위원 274명 중 한 명도 못 들어간 노회가 24%에 해당하는 가운데 같은 노회에서 6명 이상 특별위원에 들어간 노회가 있는가 하면 5명, 4명씩 들어간 노회들이 있어 지나치게 편중된 인사정책에 개탄의 소리들이 무성하다.

지금 한국기독교의 장자라는 명칭을 우리 스스로 붙여 쓰면서 긍지와 자부심을 지켜온 총회는 종교개혁 500주년의 해에 세상이 비웃을 총신정관 변경사태 앞에 망연자실해 있다. 용산시대를 마감하고 1965년 사당동 시대를 연 총신대학은 지난 60년간 개혁신학의 보루로 우리교단의 심장이었다.

‘성경과 개혁신학에 투철한 목사 및 장로를 선임한다’는 문구로 ‘본 총회소속’을 제외한 재단이사들은 총신대의 역사성을 부정하면서 총신대의 정체성 자체를 부정하고 있지 않은가. 그동안 재단이사들은 총회로부터 피해를 입은 것처럼 변명을 하지만 95~100회기 총회에 이르기까지 지시이행을 거부해 놓고 자신들이 부당하게 탄압을 받은 것을 정관개정의 이유인 것처럼 말하는 것은 너무도 궁색한 논리이다.

최소한 목회서신의 말씀처럼 청결한 마음과 선한 양심과 거짓 없는 믿음에서 나오는 사랑이 있다면 이럴 수는 없다.

여기에다 정년제 폐지로 김영우 총장의 임기를 열어 놓은 상황이다. 종교개혁 500주년의 해에 너무도 큰 적폐세력을 만난 총회임원회는 2017년 12월 5일자 <기독신문> 1면 하단에 총신비상사태 회복을 위한 금식기도회를 선포했다.

“총회의 1만2000 교회와 300만 성도가 총신대학교의 설립자요 실질적 운영자입니다”로 시작된 선포 내용은 2017년 9월 15일 정관변경 건의 심각성과 총신 원우들의 수업거부로 학사일정의 마비된 것을 진단하면서 전국 교회의 협조를 촉구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오해의 소지가 다분한 인사들의 특별위원 배치에 대한 상황 앞에 총회의 개혁의지를 묻고 싶다. 힘을 모아 한 마음으로 서서 한 뜻으로 협력하자는 실행위원회의 결의를 의심케 하는 인사배치는 아군 결속을 와해시키는 길임을 기억하자.

행동하는 개혁사상으로 총신비상사태 회복을 위해 법적소송 비용모금과 일체의 대처를 실행위원회로부터 위임 받은 사람들이 이래서는 안 된다. 지금 비상시국이다. 서로 힘을 모아 대동단결하여 이 난국을 타개하자.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